ADVERTISEMENT

“새마을운동은 2만 달러 시대 사회 안전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새마을운동은 한국 근대화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군사독재 시대의 유산으로 치부되기도 했다. 올해부터 법정기념일로 격상된 ‘새마을의 날(22일)’을 맞아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1998~2003년)을 지낸 강문규(80) 지구촌 나눔 운동 이사장을 만났다. 평생을 시민운동에 헌신했으면서도 새마을운동 조직의 수장이 되기도 했던 강 이사장이 평가하는 새마을운동을 들어봤다.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운니동 지구촌나눔운동 사무실에서 만난 강 이사장은 “98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한 이후 새마을운동이 언제 없어지나 하고 기다리고 있을 때 김대중 전 대통령이 회장직을 제안해 왔다”고 회고했다. 강 이사장과 새마을운동 회원들의 사이는 냉랭했고 팽팽한 긴장은 5년 임기 내내 유지됐다. 하지만 퇴임 무렵 새마을운동에 대한 강 이사장의 평가는 바뀌었다. 그는 “ 일하면서 미처 생각 지 못한 저력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에 맞는 과제와 리더십을 찾는다면 우리 사회의 발전을 이끌 사회적 자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갖고 취임했는데 당시 분위기는 어땠나.

 “ 모욕도 많이 당했다. 아주머니들이 바로 내 뒤에서 ‘굴러온 돌’이라고 부른 적도 있다. 하지만 일하면서 많이 놀랐다. 민간단체로 그렇게 조직이 철저한 곳이 없다. 방향이 정해지면 빠른 속도로 결집했다.”

 -새마을운동은 관변 운동이란 시각이 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이런 형태의 운동이 발전의 동력이 된다. 우리나라도 초창기엔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했고, 이걸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해낸 것이다. 민주화 운동 차원에서 보면 ‘악’일 수 있지만 개발 차원에서 보면 ‘필요한 존재’였다.”

 - 그런 생각을 밝히면 공격을 많이 받을듯하다.

 “(보수와 진보) 양쪽에서 다 공격을 받는다. 하지만 내 소신이다. 중진국, 선진국에 진입한 현재의 시각으로 당시 운동을 비판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론 새마을운동은 위에서 밀어붙인 운동으로 여긴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면 위에서 동기부여는 했지만 동력은 밑에서부터 올라왔다. ”

-더욱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조직의 재정 자립이다. 이렇게 되면 시민단체로서의 역량도 늘고 정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갖게 될 것이다. 내가 회장으로 있을 때 회원 회비 내는 것으로 저항이 거셌다. 새마을운동은 ‘노력 봉사’, 몸으로 때우기라는 것이다. 소득 2만 달러 시대에 맞는 새마을운동이 되려면 과거의 장점과 유산을 어떻게 살려서 어떻게 새로운 동력으로 끌어낼지에 주력해야 한다.”

 -새마을운동이 미래 시민운동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 같다.

 “ 잘살게 됐다고 사회 문제가 다 사라진 것은 아니다. 현재 복지제도가 전국 방방곡곡 미치지 못하니 새마을운동이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건 행정으로 감당할 비용의 100분의 1이면 가능하다. 국민 의식 조사를 하면 국가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 사업으로 새마을운동을 꼽는다. 젊은 세대는 새마을운동을 모르는데도 말이다. 유전까지는 아니지만 의식적으로 계승이 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런 걸 보면 새마을운동은 여전히 살아있는 것 같다.”

글=전영선 기자, 사진=변선구 기자

강문규(80) 전 회장은

▶ 1956년 경북대 사회학과 졸업

▶ 1974~96년 한국 YMCA연맹 사무총장

▶ 1994~98년 한국시민단체협의회 공동대표

▶ 1998~2003년 한국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 2004~2006년 대북지원 민간단체협의회 회장

◆새마을의 날=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제창한 날이다. 지난해 9월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 등 10명이 이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자는 법안을 발의했다. 지난 2월 1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법정기념일로 승격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