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 문제 해법, 인내천 사상에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우리 사회의 온갖 문제를 해결하는 해법이 인내천(人乃天) 사상 속에 들어있다.”

 29일 취임 1주년을 맞은 천도교 수장 임운길(83·사진) 교령(敎領)을 만났다. 올해로 수도(修道) 60년째인 임 교령은 “일제시대 총독부 통계에 따르면 당시 북한 지역의 인구는 700만~800만 명이었다. 그 중 270만 명이 천도교인이었다”며 “오늘날 천도교 교세가 사그라진 것은 사회개혁운동에 치중한 측면이 크다. 천도교는 정신개벽운동을 바탕으로 환경운동과 통일운동을 전개해 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사람이 곧 한울’이라는 인내천 사상을 표방하는 천도교는 올해 창도 152년을 맞는다. 동학운동과 3·1 독립운동 등을 주도했던 천도교는 일제 강점기 내내 탄압을 받았다. 1920년대 교인 수가 600만 명에 달했던 교세도 급속히 기울었다.

 임 교령은 예전 비화도 소개했다. “일제시대 천도교는 교당을 짓는다는 명목으로 교인들에게 헌금을 받았어요. 교세가 상당했으니 액수가 엄청났죠. 그 돈의 상당수를 독립자금으로 돌렸습니다. 3·1 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인쇄하다가 일본 순사에게 들켰는데, 당시 천도교는 엄청난 액수의 돈을 줬고 그 일본순사는 돈과 함께 중국으로 달아났습니다. 그 사이에 독립선언서를 인쇄할 수 있었어요.”

 임 교령은 “사람에게는 몸과 마음, 그리고 성품이 있다. 이 셋을 모두 찾아야 자기를 찾게 된다. 이 셋을 찾는 길이 천도교에 있다”고 강조했다. 천도교는 최대 경축일인 천일기념일(4월5일)의 국가 공휴일 지정을 추진 중이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