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학 등록금, 신용카드 납부 거절 여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2면

올해도 상당수 대학이 등록금 카드 납부를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2011학년도 등록금을 7개 전업카드사(롯데·비씨·삼성·신한·KB국민·하나SK·현대)의 신용카드로 받은 대학은 48곳으로 지난해보다 19곳 늘었다. 전국 411개 대학 중 11.7%다.

 비씨카드는 서울대·연세대·서강대·중앙대 등 26개 대학에서 등록금 카드 납부가 가능했다. 삼성카드는 성균관대·건국대 등 12개 대학, 신한카드는 서울대 등 9곳에서 등록금을 낼 수 있었다. 하나SK카드는 6곳, KB국민카드는 4곳, 현대카드는 1개 대학과 등록금 납부 제휴를 맺었다. 롯데카드는 해당 대학이 없었다.

 대학들이 등록금을 카드로 받지 않는 건 1.5%가량인 가맹점 수수료 때문이다. 등록금 500만원을 카드로 납부하면 이 중 7만5000원을 카드사가 가져가게 된다. 대학 입장에선 현금으로 잘 들어오고 있는 등록금을 굳이 수수료까지 주면서 카드로 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대학 측은 수수료 부담이 커지면 등록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도 주장한다.

 하지만 두 학기 등록금이 1000만원이 넘는 상황에서 이를 현금으로 한꺼번에 내기엔 부담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할부가 가능한 신용카드 납부를 선호하는 학생과 학부모가 적지 않다. 실제 카드사들은 대학 등록금에 대해 다양한 할부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2~3개월 무이자 할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12개월 할부로 등록금을 내면 할부 수수료 중 일부를 깎아주는 ‘슬림할부’ 서비스도 있다.

 등록금 카드 납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카드사, 양측이 서로 조금씩 양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등록금 대책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전국 네트워크의 안진걸 팀장은 “일부 대학은 카드사 한 곳과 제휴를 맺는 대신, 카드사가 가맹점 수수료를 크게 낮춰주기도 했다”며 “학생과 학부모의 편의를 위해 대학과 카드사가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