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연평도 포격 때 날아간 F-15 전투기 “북한 해안포 기지 때릴 공대지 미사일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도발 당시 우리 공군 주력기(F-15K 등)에 북한 해안포 기지를 타격할 무기가 탑재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공군은 공식·비공식적으로 “명령만 내렸다면 우리 전투기로 북한 측 해안의 포격 원점을 타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었다. 그러나 이런 군의 주장이 사실과 달랐던 것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7일 기자와 통화에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시 우리 공군 F-15K엔 ‘공대공(空對空)’ 미사일만 탑재돼 있었다”며 “(북한의 포격 원점을 타격할 수 있는) ‘공대지(空對地)’ 무기를 탑재한 건 상황이 완전히 종료된 이후였다. 결과적으로 도발 당시엔 북한의 해안포 기지를 공격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태였던 것”이라고 밝혔다.

 연평도 도발 직후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 등은 국회 국방위원회 등에서 “북한이 2차 사격에 나섰을 때 전투기로 보복했어야 했다”고 비판했었다. 이에 대해 군은 “포격 4분 만에 F-15K 4대와 KF-16 2대 등 공군의 주력 전투기가 출격해 북측 해안포 및 미사일 기지를 타격할 준비태세를 갖췄으나 북측이 더 이상 추가도발을 하지 않아 실행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해명했었다. 그러나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당시 공군은 전투기 간의 교전(공대공 상황)만 가정했었다”며 “포격 원점을 타격할 수 있었다는 공군의 발언은 솔직하지 못한 얘기였다”고 지적했다.

 군에 관한 이 같은 ‘증언’이 정부 내에서 나오는 건 예비역 장성을 포함한 군 일부가 최근 ‘국방개혁307계획’에 대해 반발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 청와대 및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예비역 장성과 군 일각의 반발에 대해 불쾌해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군의 작전환경과 안보 상황, 시대 상황이 달라졌는데 (군 일각에선) 과거 경험을 가지고 얘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고정애·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