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뭐로 할까, 뭘로 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9면

“오늘 반찬은 뭘로 하지?” 주부들이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다. “점심, 오늘은 뭐로 할까?” 직장인도 비슷한 고민을 한다. 이들은 무얼 먹을까 고민하면서 ‘뭘로’와 ‘뭐로’, 각기 다른 말을 사용했다. 어법에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

 일상생활에서 흔히 ‘뭘로’라는 표현을 쓰지만 ‘뭐로’가 올바른 표기다. “오늘 반찬은 뭐로 하지?”로 바루어야 한다. 입말에선 ‘뭘로’가 ‘뭐로’보다 발음하기 편해 자연스럽게 느껴지지만 표기할 때는 ‘뭐로’로 적어야 바르다.

 ‘뭘’은 ‘무엇을’이 줄어든 말이므로 ‘뭘로’로 사용하면 안 된다. “오늘 반찬은 ‘무엇을로’ 하지?”가 돼 버리기 때문이다. ‘뭐로’라고 해야 ‘무어로(무엇으로)’라는 말이 된다. ‘뭐’는 ‘무어’, 즉 지시대명사 ‘무엇’의 준말이다.

 “쇠고기와 돼지고기 중 뭘로 가져가실래요?” “우리를 도대체 뭘로 보고 그러는 건지 모르겠다”와 같이 써서는 안 된다. ‘뭐로 가져가실래요’ ‘뭐로 보고’로 고쳐야 맞다.

 “오늘 뭘 입었지?” “내일은 뭐 입지?”의 경우는 어떨까? ‘뭘’은 ‘무엇을’이 줄어든 형태이고 ‘뭐’는 ‘무어(=무엇)’ 뒤에 목적격조사가 생략된 형태로, 둘 다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

이은희 기자

▶ [우리말 바루기]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