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 10개 사업 철회, 60곳은 규모 축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LH가 경영 정상화를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게 사업 구조조정이다. 마구잡이로 벌여놓은 사업을 정리하지 않는 한 정부의 자금지원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일단은 정부가 지원 방안을 마련함에 따라 사업장 구조조정 작업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LH는 정부의 이번 경영지원 방안에 대해 “유동성 개선과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상반기 중으로 사업장 구조조정을 마무리하는 등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LH가 벌이고 있는 사업장은 전국 414곳(5억9500여㎡)으로 절반 이상이 신도시·보금자리지구 등 택지개발사업(291곳)이다. 이 가운데 보상을 시작하지 않은 138곳에 대해 LH는 사업 시기와 방식을 조절하는 등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LH에 따르면 현재 절반 정도인 70곳에 대한 구조조정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사업조정심의실 이명호 실장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 등을 열어 당장 사업을 시작할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하고 주민·자치단체와 함께 대안을 찾고 있다”며 “이런 과정을 거쳐 70여 곳은 방향을 정했다”고 말했다.

 사업을 접기로 한 곳은 이 가운데 10곳 정도다. 경기도 오산 세교3지구, 천안 매주도시개발사업지, 서산 석림2택지개발지구 등지다. 보상이 3~4년 뒤에나 가능하다는 LH의 설명에 사업 대상지 주민들이 사업 철회를 요청한 곳이다. 실제로 최근 LH가 국토부에 사업 철회를 요청한 세교3지구의 경우 주민 80% 이상이 사업 취소를 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0여 곳은 대상지 주민, 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크기를 줄이거나 사업 방식을 바꾸는 형태로 사업성을 확보한 뒤 진행하기로 했다. 전주 효천지구는 사업방식을 수용(현금으로 보상)에서 환지(땅으로 대신 주는 것)로 바꾸기로 했고, 아산 탕정지구는 규모를 줄여 일단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LH는 이런 식으로 상반기에 138곳에 대한 구조조정을 모두 끝내기로 했다. 이지송 사장은 기자와 만나 “(구조조정이) 잘 되고 있다”고 운을 뗀 뒤 “LH의 사업 구조조정은 사업을 포기하려는 게 아니라 주민·자치단체와 함께 최선의 방법을 찾으려는 것”이라며 “사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곳은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진행 중인 276곳은 사업을 계속 추진하되 공정률과 공사 일정, 부담금 납부 시기 등을 조정해 유동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한편 LH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사업장 구조조정뿐 아니라 2012년까지 전체 인력의 4분의 1인 1700여 명을 감축하고, 올해 전 직원의 월급도 10% 반납할 계획이다. 또 옛 주택공사 사옥 등을 처분해 자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