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된 독도펀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0면

일본과의 독도 영유권 분쟁이 고조되던 2005~2006년 증권가에 붐을 일으켰던 ‘독도 펀드’가 종적을 감췄다.

 당시 증권업계는 독도 이름을 넣은 펀드를 출시하고, 독도 사이버 지점을 개설하는 등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한 상품을 앞다퉈 내놓았다.

 5년이 지난 현재 이들 펀드는 화려한 등장과는 달리 초라하게 무대 뒤로 사라졌다. 전문가는 테마성 금융상품이기에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이라면서도 이런 상품이 출시 당시 목적대로 효과를 거뒀는지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KB자산운용이 2005년 5월 27일 출시했던 ‘독도수호행동 펀드’는 다음해인 2006년 3월 3일 시한이 만료됐다. 이 상품은 국내 종합주가지수가 일본의 닛케이지수보다 좋은 실적을 내면 이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운용보수와 판매보수의 30%를 떼서 독도 관련 단체에 기부한다고 홍보했다.

 KB자산운용 관계자는 펀드가 사라진 이유에 대해 “투자 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만료일까지 기간이 이미 정해져 있던 펀드였다”며 “당시 한창 독도 문제가 붐이었고, 한시적으로 출시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2005년 3월 내놓았던 ‘부자아빠 독도사랑 혼합증권투자신탁W-4호’도 2008년 1월 14일 마지막 설정액 600만원이 전액 출금되면서 자연스레 청산됐다. 이 업체 관계자는 “이 상품은 꾸준히 환매가 있었다”며 “펀드가 이렇게 청산되는 경우는 보통 없는데, 아무래도 호응이 점차 떨어졌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현대증권이 2002년 9월 개설했던 ‘독도 사이버 지점’은 2008년 이후 폐쇄됐다. 이 지점은 12개 제휴 금융회사를 통해 증권계좌를 개설한 고객을 위한 사이버상 지점으로, 행사를 통해 신규 1계좌당 1000원씩 독도수호기금을 적립했다. 또 맥쿼리자산운용이 2005~2006년 출시했던 맥쿼리IMM독도채권형사모증권 역시 현재는 운영이 종료됐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일회성 펀드는 마케팅 차원에서 항상 있을 수 있고 최근 소외계층을 위한 ‘디딤돌 펀드’도 이 일환”이라며 “펀드 운용 기간이 짧은 걸 문제 삼을 순 없지만, 시류에 편승한 알맹이 없는 상품은 자체 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