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이렇게 출제한다] 수리영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수리영역 출제의 기본원칙은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계산능력.이해능력.추론능력.문제해결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문항을 출제하는 것이다. 단순 공식이나 지식의 암기 여부를 확인하는 문항의 출제는 지양한다.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 위주의 문제 출제도 마찬가지다.

실생활이나 다른 교과의 소재.상황을 이용할 때는 현실에 부합돼야 한다. 기출 문항은 배제되지만 수정해서 출제할 수 있다.

문항 수정 과정에서도 이런 기본원칙이 반영된다. 2005학년도 9월 모의고사에서 출제된 예시 문항은 초안이 기출 문제로 판명돼 처음의 의도를 살리는 범위에서 수정됐다. 수험생들이 평소 공부하면서 기출문제가 변형돼서 얼마든지 출제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문제 상황이 현실에 부합되지 않아 수정된 경우도 예시됐다.'음료수를 냉장고에 넣은 후 음료수와 냉장고의 온도차가 0.0001℃ 이하로 내려가는 최소의 시간을 구하라'는 문제였는데 화학 전공 교수에게 자문한 결과 실제 상황에서는 이런 온도차까지의 정밀도가 요구되지도 않고, 측정할 수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해 '농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수정했다.

연속확률변수에 대한 기대값을 다루는 문항도 제시됐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최종 문항에서는 단순히 확률을 계산하도록 수정됐다.

4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문항도 상반방정식을 이용하고 복소수의 범위까지 확장해야 하는 등 교육과정의 범위를 벗어난다는 지적이 나와 3차 방정식으로 수정해 출제됐다.

김남중.하현옥.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