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통계, 인터넷서 편히 볼 수 있게 바꿀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최근 통계 부실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이달 15일과 16일 중앙일보에도 '국가 통계 부실'제하의 기사가 실렸다. 이러한 질책은 통계의 중요성을 잘 알고, 진심 어린 걱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겸허한 마음으로 비판을 받아들이면서, 통계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입장에서 국민의 오해를 풀어드리고, 통계 개선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을 밝히려 한다.

위에서 언급한 기사는 사업체 기초통계 조사에서는 도.소매업 종사자가 261만명인데 경제활동 인구조사에서는 399만명으로 138만명이나 차이가 나는 부실 통계라는 것이다. 두 가지 조사는 통계목적과 쓰임새가 다르다.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생산 활동에 투입된 총 노동량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사업장이 없는 노점상, 가정 내 근로자, 행상, 자영외판원 등 95만명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1주일에 한 시간 이상만 일해도 경제활동에 기여했다고 보고 이를 포함시키고 있다(24만명). 이상의 두 가지 숫자를 고려할 경우 차이는 19만명이다(138만명에서 95만명+24만명을 뺀다).

사업장이 없는 자영업자나 짧은 시간 근로자는 이동성이 높기 때문에 정확성을 기하기 어렵다고 볼 경우 두 가지 통계는 조사 방법이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근접하는 수치라 말할 수 있다.

일본 등 통계 선진국도 동일한 방식으로 통계를 작성한다. 정부는 국민이 필요로 하는 통계를 만들어야 한다. 발표된 통계가 국민에 의해 올바로 이해되고 사용돼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국민이 통계에 대해 신뢰하지 않을 경우 통계청으로서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통계청은 국가통계 시스템의 혁신 작업을 시작했다. 먼저 기존통계가 유용한지, 정확한지 품질평가를 하고 있다. 정부 각 기관에서 작성하고 있는 통계도 점검한다. 아울러 경제.사회 변화에 맞춰 필요한 통계가 없는지에 대한 검토를 끝내고 20여종의 통계를 새로 개발하거나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통계의 유용성, 시의 적합성과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는 통계 인력 수준을 높이고, 국민에 대한 서비스 기능 확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통계교육을 강화하고 선진통계를 연구.개발하는 기능을 대폭 확대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선진국들도 우리나라의 통계수준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 수준을 앞서가는 통계 역량을 갖추겠다는 것이 통계청의 각오다.

통계를 작성.발표하는 목적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 추세에 맞춰 정부와 기업 및 가계에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기촉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요가 없는 생산은 의미가 없다. 이런 관점에서 통계청은 국민이 이해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통계 서비스 기능의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통계 보급 기능의 방식을 책자(Hard Copy)에서 전자방식으로 바꾸고, 보급 기능 자체도 공무원이 하기보다는 민간에 맡기는 형태로 조직을 변경할 계획이다.

아직은 미흡한 통계수준, 부족한 통계행정 기능이지만 국민께서 신뢰와 애정을 가지고 지켜봐 주고, 지원해 주시기 바란다.

오갑원 통계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