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KSP를 아십니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KSP는 최단기간 내 최빈곤국에서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우리의 경험을 토대로 개도국에 정책 조언을 하는 정부 사업이다.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수출하는 셈이다. 2004년에 시작해 지난해까지 15개국을 대상으로 134개 과제를 수행했다. 베트남에 수출입은행 역할을 하는 개발은행을 세워줬고, 인도네시아에는 채권시장 개발 방안을, 알제리에는 신용카드 거래 활성화 정책을 컨설팅했다. 올해도 17개 개도국의 66개 사업을 돕고 있다.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 KSP를 바탕으로 공동 컨설팅도 추진한다.

KSP 사업 후보 중에 ‘경제기획원(EPB) 설립·운영’도 눈에 띈다. 경제개발기에 우리 경제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담당했던 경제기획원 모델을 개도국에 심는 것이다. 재정부는 자선사업으로 유명한 빌 게이츠 재단과 함께 에티오피아에 경제기획원을 설립하는 사업도 검토 중이다. 주형환 재정부 대외경제국장은 “지상파를 이용해 시청자를 가르치는 교육방송(EBS) 모델도 몽골·콜롬비아 등 여러 나라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성차별이 여전히 남아있는 중동 국가에선 분리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국의 여자대학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이런 과제들도 KSP 사업 후보에 올랐다.

오는 14~17일 서울에서 열리는 ‘2010 한·아프리카 장관급 경제협력회의(KOAFEC)’에서도 KSP 세미나가 비중 있게 열린다. 이 행사엔 아프리카 35개국에서 40여 명의 장·차관급 고위 인사를 포함해 150여 명의 아프리카 대표단이 방한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아프리카 관련 최대 행사다. 한국은 아프리카 개도국들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와 내전을 겪었다. 유사한 여건을 극복한 경험을 KSP 사업으로 공유한다면 정서적 공감대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게 경제협력의 기반이 됨은 물론이다.

개도국의 경제 성장을 도와주는 ‘개발 컨설팅’ 시장 규모는 연 30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국제기구와 선진국들이 내놓는 이런 돈을 한국의 KSP 일꾼들이 많이 따냈으면 한다. 경험 많은 퇴직자뿐만 아니라 개도국 개발이란 큰 꿈을 꾸고 이 시장에 뛰어드는 젊은이들이 앞으로 많이 나왔으면 한다.

서경호 경제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