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鄭 선거공조 새 변수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6일 부산 유세에서 "대통령이 된다면 국민통합21의 정몽준(鄭夢準)대표와 임기 5년간 '국정의 동반자'로서 공동의 책임을 지고 새정치와 국정개혁을 이뤄내겠다"는 선언을 했다.

이는 鄭대표가 그동안 직·간접적으로 요구해온 공동정부 운영을 수용한 발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따라 鄭대표의 적극적인 盧후보 지원유세 등 막판 변수가 될 盧-鄭 선거공조의 기폭제로 작동할지 주목된다.

盧후보는 부산시지부 후원회에서 "내가 대통령이 되면 나 혼자에게 새 정치의 책임이 있는 게 아니며 鄭후보에게도 있다. 새 정치를 할 때까지, 노무현이 정치개혁에 성공할 때까지 도와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鄭대표는 5일 울산에서 "盧후보와 우리가 일을 같이 하게 된다면 문자 그대로 국정 5년을 책임진다는 책임감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함께 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盧후보의 최종 선택을 압박했다.

이날 盧후보의 발언에 대해 통합21의 한 핵심 당직자는 "상당히 진전된 발언으로 생각한다"며 "선거의 적극 공조와 양자 회동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鄭후보가 어느 시기에 盧후보를 만나 손을 들어줘야 파괴력이 큰지를 고려하고 있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양당은 이르면 8일께 부동층이 가장 많은 충청권의 구심점인 대전에서 盧후보와 鄭대표가 공동유세를 시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양당 정책위의장도 7일 대북·대미외교, 경제분야 등 3개 항목으로 이뤄진 정책조율 합의문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盧후보 선대위의 한 핵심 관계자는 "상승세가 주춤한 부산·울산·경남과 충청·수도권은 물론 연령·성별로도 40대와 여성들의 지지율 제고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주장했다.

반면 '권력 나누기'의 역풍에 대한 우려도 양당 내에서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의 공세도 예상된다.

이와 관련, 민주당의 임채정(林采正)정책본부장은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도 5일 일상적인 내치행정은 총리에게 위임하는 책임총리제 공약을 내걸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林본부장은 "권력을 분산하지 않으면 '제왕적 대통령'이라고 하고 분산하려면 '나눠먹기 야합'이라고 비난하는 게 바로 한나라당식의 낡은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鄭대표도 5일 "공동정부란 표현이 적합한지는 더 생각해 봐야겠다"면서 "대북·대미·대기업 정책에서 盧후보와 원칙적 측면에선 큰 차이가 안 난다고 생각한다"며 공동정부에 대한 역풍 차단에 신경을 썼다.

부산=서승욱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