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up] 정준양 포스코 회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납품단가 문제를 놓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자기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이러다 아무 성과 없이 지나갔던 과거 사례를 돌이켜봐야 한다. 이번에는 정부와 대·중소기업 등 이해 당사자들이 실효성 있는 제3의 길을 찾아야 한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준양(62·포스코 회장·사진)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이사장이 최근 강조한 말이다.

정 이사장은 지난달 말 재단의 하반기 경영활동계획을 확정하면서 “대·중소기업이 장기적인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려면 지금 같은 일회성 발언보다는 구조개혁이 선행돼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보다 효과적인 대·중소기업 상생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얘기다.

정 이사장이 ‘제3의 길’ 사례로 제시한 것이 포스코가 2004년부터 시행 중인 ‘베니핏 셰어링(Benefit Sharing)’ 제도다. 1차 중소 협력업체와 공동으로 비용 절감 프로젝트를 진행해 여기서 나온 이익을 절반씩 공유하도록 한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지금까지 289개 중소기업에 343억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고 말했다.

포스코가 그동안 2~4차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이 미흡했다며 앞으론 적극적으로 중소기업 지원에 나설 뜻도 내비쳤다. 정 이사장은 “2~4차 협력업체에 혜택이 돌아갈 만큼 성과가 충분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향후 베니핏 셰어링 제도를 (2~4차 협력업체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오는 18일 관련 내용을 담은 ‘협력사와 상생 대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정 이사장은 또 중소기업이 보다 공격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앞으론 기술력을 갖춘 중소기업이라야 대기업과 ‘부가가치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월드 베스트’ ‘월드 퍼스트’ 중소기업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대·중소기업 간 기술·인력·판로 등 협력사업을 목적으로 2004년 12월 설립된 정부기관이다. 정 이사장은 윤종용 삼성전자 고문에 이어 지난해 11월부터 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올 하반기 대기업의 협력 지원을 2, 3차 협력사들로 확대하고 중소기업의 기술·노하우 누출을 막기 위한 ‘기술임치제도’를 널리 보급할 계획이다. 이달 말에는 ‘대·중소기업 상생문화포럼’을 개최한다.

이상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