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기만한 '단말기 공짜' 마케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해 11월 대림역 부근의 '단말기 공짜'라는 팻말이 걸린 행사장에서 모 통신회사의 휴대전화를 구입했다. 신규 가입자는 물론 기존 고객도 선금 3만원을 내고 가입비 5만원만 분납하면 단말기를 무료로 준다고 했다. 정말로 단말기를 공짜로 주는지, 다른 조건은 없는지 수차례 확인했으나 행사장 요원은 오히려 "속고만 살았느냐"고 반문했다.

나는 1999년 처음 휴대전화를 구입했을 때부터 자동이체를 했다. 그런데 지난 5월 휴대전화 요금이 5만원으로 평소보다 많이 나왔다. 자세히 알아보니 두가지 이유가 있었다.

우선 내가 사용하고 있는 휴대전화 번호 외에 전혀 모르는 유령 번호까지 휴대전화 두대의 요금이 청구된 것이었다. 그 유령번호에는 내가 신청한 적도 없는 부가 서비스료까지 청구돼 있었다.

더욱 기가막힌 것은 공짜로 준다던 단말기의 할부금 명목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서 돈을 빼낸 것이었다. 그것도 매달 빼낸 것이 아니라서 꼼꼼히 살펴보지 않으면 빼간 줄도 모르게 해놓았다. 어쩌면 이렇게도 철저하게 소비자를 기만할 수 있을까.

대리점 측에서는 내가 기존의 휴대전화를 해지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태연했다. 본사 쪽에서도 불성실한 대응으로 일관했다. 도대체 신청하지도, 사용하지도 않은 전화번호에 어떻게 요금을 부과한다는 말인가. 게다가 다른 조건이 없는지 사전에 여러 번 확인했는데 말이다. 대기업을 믿고 자동이체로 대금을 납부했는데 기가막힌다.

천미경·경기도 광명시 광명4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