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인사위도 대부분 진보로 채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징계위원회에 이어 교육공무원의 인사를 심의하는 인사위원회의 위원도 진보 성향 인사로 대부분 채워 논란이 일고 있다. 곽 교육감은 취임 직후 “전교조와 한국교총을 아우르는 모두의 교육감이 되겠다”고 밝혔으나 정작 중요한 인사에서 균형감을 잃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2일 “곽 교육감이 선거 때부터 ‘시민참여형 인사위원회’를 만들겠다고 공약을 걸었다”며 “외부위원의 참여를 늘려 교육청 인사의 공정성·투명성·객관성을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새 인사위원회는 전체 9명 중 7명이 외부 출신으로 짜였다. 시교육청 내부에서는 부교육감(인사위원장)과 교육정책국장이 참여한다. 인사위원회는 서울 공립 초·중·고 교원 4만8000여 명의 승진·전보 등 인사를 심의·의결하는 기구다. 이번 인선은 곽 교육감의 ‘코드인사’ 성격이 짙다. 외부인사 7명 중 6명이 진보 또는 친전교조 성향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전교조 출신으로는 분회장을 맡았던 고춘식 전 한성여중 교장이 인사위에 참여한다. 권태선 한겨레신문 논설위원과 박주현 전 청와대 참여혁신수석, 최현섭 전 강원대 총장, 송순재 감리신학대 교수도 진보 성향이다. 중도 성향으로 기독교 교사운동을 펼쳐온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도 인사위에 포함됐다. 이들은 곽 교육감이 직접 선택했다. 평교사인 김소연 우이초 교사만 지역교육청 추천 여성 교원 자격으로 들어갔다.

김동석 한국교총 대변인은 “모두의 교육감이 되겠다던 곽 교육감이 약속과 달리 징계위와 인사위를 진보성향 인사로만 채운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곽 교육감이 교총과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속임수 게임을 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22일 시교육청이 공개한 지방공무원(사무관·서기관 등) 인사위원회도 친전교조 성향의 인사들이 외부위원으로 위촉됐다. 곽 교육감 취임준비위에서 활동했던 최민희 전 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 강경선 방송통신대 법학과 교수, 최은순 전 청와대 비서관 등 3명으로 모두 진보 성향이다.

곽 교육감은 다음 달 중으로 주요 보직에 공모제를 도입하고 인사위의 심의 기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교육청 내부에서는 친전교조 성향 위원들이 친전교조 성향 교원들을 주요 보직에 앉히는 등 대폭 물갈이 인사를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재 징계 대상자가 140여 명에 달해 공석이 될 교장 자리가 많기 때문에 이 같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시교육청의 한 장학관은 “새 인사위원들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인사 태풍이 불지 않을까 걱정하는 교원이 많다”고 전했다.

박수련 기자

알려왔습니다 전교조 1세대로 표현된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는 "전교조에가입한 적이 없다”고 알려왔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