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업씨 기업등서 48억 받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차남 김홍업(金弘業)씨가 1998년 현 정권 출범 이후 각종 이권청탁의 대가로 25억8천만원을 받은 것 외에 현대와 삼성 등 대기업에서도 22억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전·현직 국정원장인 임동원(東源)·신건(辛建)씨에게서 명절 떡값과 용돈 등의 명목으로 최소한 3천5백만원을 받았음도 새로이 밝혀졌다.

<관계기사 3, 4, 31면>

대검 중수부(金鍾彬 검사장)는 10일 홍업씨에게 대기업에서 받은 22억원의 증여세 5억8천만원을 포탈한 혐의를 추가로 적용, 조세포탈과 알선수재 및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홍업씨는 활동비 명목으로 98년 7월 당시 현대그룹 명예회장 정주영(鄭周永)씨에게서 10억원을 받는 등 현대그룹에서 16억원을 챙겼으며, 99년 12월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에서도 5억원을 받았다.

홍업씨는 특히 이 돈을 십여개의 차명계좌로 나누어 관리하면서 측근을 통해 돈세탁해 추적을 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써 홍업씨가 현 정권 들어 기업·개인·기관 등에서 받은 돈은 모두 48억원이 넘는 것(일부는 측근과 함께 수수)으로 확인됐으며, 검찰은 홍업씨가 세탁한 돈의 규모가 33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검찰은 홍업씨가 2001년 초 ㈜한국미스터피자에서 세무조사 무마 청탁을 받은 뒤 안정남(安正男) 당시 국세청장에게 이수동(守東)전 아태재단 상임이사를 시켜 청탁하게 했다는 사실을 추가로 밝혀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홍업씨가 이권에 개입한 업체는 모두 6개로 늘어났으며, 청탁 대상 국가기관도 청와대·검찰·국세청·예금보험공사·신용보증기금 등 다섯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업씨는 특히 99년 임동원 당시 국정원장에게서 2천5백만원을, 지난해 신건 국정원장에게서 1천만원을 받았으며 당시 이 돈은 국정원장 판공비였던 것으로 알려져 판공비 사용처를 둘러싼 논란이 빚어질 전망이다.

검찰은 그러나 홍업씨가 국정원에서 아태재단 용역비 명목으로 받았다고 했던 4천5백만원은 실제 용역비였음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홍업씨는 96년 15대 총선 당시 국회의원 출마자 20여명에게서 선거기획 홍보비 명목으로 6억원을,97년 대선을 앞두고 친지 등에게서 후원금 11억원을 받았음도 이번 검찰 조사에서 밝혀졌다.

한편 홍업씨가 대기업에서 받은 돈에 대해 그의 변호인인 유제인(濟仁)변호사는 "아태재단이 재정적으로 어려울 때 대기업 쪽에서 먼저 돕겠다고 해 받았던 돈"이라며 "대가성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홍업씨의 고교동창인 김성환씨도 유진걸씨 등과 함께 성원건설 화의 인가 청탁 명목으로 13억원을, 새한그룹 무역금융 사기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 무마 명목으로 7억5천만원을 받은 혐의(알선수재 등)로 추가 기소했다.

이상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