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수리·외국어 모두 반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7차 교육과정이 첫 적용(현재 고교 1년생)될 2005학년도 대학입시에서 서울지역 주요 대학들이 수능시험의 언어·수리·외국어 세 영역과 함께 사회·과학·직업탐구 가운데 한개를 반영하는 '3+1'방안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5일 고려대에서 열린 서울지역대학교 입학관련처장협의회(회장 김승권 고려대 입학관리실장) 워크숍에서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 등 5개 대학이 공동 연구해 제시한 것으로 다른 대학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워크숍은 '7차 교육과정과 200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공동연구 중간발표회 형태로 열렸다.

◇"2+1은 수험생 학력 저하"=협의회는 "수능 5개 영역을 모두 반영하는 것은 수험생의 입시 부담을 가중시키고 과목 선택의 자율권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언어·수리·외국어 가운데 2개 영역과 사회·과학·직업탐구 가운데 1개 영역을 반영하는 '2+1'방안은 수험생의 전반적인 학력수준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두 가지 방안의 절충형인 '3+1'방안의 도입을 제시했다.

협의회는 이와 관련해 "수능 4개 영역을 반영하면서 학생부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수험생의 학력수준 저하를 최소화하고 고교 정상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까지 교육인적자원부에 학생부·수능 세부반영 계획을 제출해야 하는 대학들이 이 방안을 사실상 가이드라인으로 받아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달 수험생의 학습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2+1'방안을 각 대학에 권고했었다.

◇대학들 비슷한 보조 취할 듯='3+1'방안이 도입되면 수험생들은 현행 대입과 마찬가지로 4개 수능영역을 모두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그러나 협의회는 '3+1'방안과 함께 '2+1''모집단위별 탄력반영' 등도 함께 제시하며 대학별 특성에 맞는 방안을 찾도록 권고해 최종 선택은 각 대학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기조 발제자로 참여한 서울대 유영제 입학관리본부장은 "수험생들이 가능하면 여러 모집단위(대학)에 지원할 수 있도록 입시반영 영역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학 입시 관계자들은 "일부 대학이 독자적으로 반영 영역이나 선택과목을 지정함으로써 수험생의 복수지원 기회를 원천적으로 막는 일은 없도록 배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무영·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