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대선 풍향계'수도권에 화력 집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6·13 지방선거는 대통령 선거(12월 19일)의 전초전 성격이 짙다. 더구나 한나라당과 민주당·자민련 모두 대통령 후보가 이미 정해져 있다. 선거 결과는 곧바로 후보에 대한 지지율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는 정당투표제가 처음으로 도입된다. 유권자의 정당 선호도까지 그대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각 당이 6·13 지방선거에 쏟는 노력은 각별하다.각 당 지도부는 입을 모아 "과거 어느 지방선거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한나라당은 '현 정권의 부패와 무능'을 부각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지속적인 개혁'과 '중산·서민층을 위한 당'이라고 받아치고 있다. 양당의 화력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 양당 모두 "수도권에서 이기면 대선의 절반은 이기는 셈"이라고 생각한다.

한나라당 서청원(徐淸源)대표는 현 정권을 "의약분업·교육붕괴·언론탄압 등 무능과 독단으로 일관했고 대통령 세 아들이 동원된 부정부패가 하늘에 닿은 정권"이라고 규정했다.

한나라당은 이같은 실정을 집중공격해 '노풍(風·노무현 바람)'을 아주 잠재우겠다는 계산이다.

'김대중(金大中·DJ)대통령을 때려서 민주당 노무현(武鉉)후보를 멍들게 하는' 전략이다. 성공하면 이회창(會昌)후보의 대선가도는 탄탄하게 된다는 게 한나라당의 판단이다.

민주당 한화갑(韓和甲)대표는 "한나라당이 이번 선거를 정쟁의 도구로 삼으려 하고 있다"며 "우리당 후보가 참신하고 도덕적인 민생일꾼임을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춰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공세를 받아치기보다 후보의 자질로 승부한다는 생각이다.

노무현 후보는 부산지역에 주력하는 동시에 수도권 지원유세에도 나설 방침이다. 그러나 호남을 제외하곤 안심할 만한 지역이 없어 고민이다.

자민련은 충청권을 지키는 게 급선무다. 대전시장과 충남·북 지사 세자리 당선을 목표로 잡고 있다.

각 당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될 수 있을지는 두고볼 일이다. 하지만 대선을 6개월 앞둔 시점이어서 패한 정당은 한바탕 내홍을 치를 전망이다. 결과에 따라서는 정계개편의 흐름이 빨라질 수도 있다. 물론 승리한 정당에 유리한 흐름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양당이 모두 집단지도체제란 점도 불안요인이다. 민주당의 경우 만일 수도권에서 질 경우 당 지도부가 타격을 받고, 부산·경남권에서 패하면 "재신임을 받겠다"고 밝힌 후보가 어려운 처지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물론 한나라당도 패할 경우 지도부와 이회창 후보가 인책론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