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예·대 금리'인상 박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최근 국고채 및 양도성예금증서(CD)의 유통수익률 등 시장금리가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통화위원회도 7일 콜금리를 올려 시장금리의 상승을 반영했다. 이제 금융권의 예금·대출금리가 언제 얼마나 오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기업의 자금수요가 줄어 은행들이 가계대출 경쟁을 벌여야 할 상황이어서 은행권의 예금·대출 금리가 시장금리와는 달리 계속 하락세를 보인 게 사실이다. 그러나 지난 3월부터 시장금리의 변화가 서서히 은행권에도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한빛은행이 이날 예금과 대출금리를 0.2%포인트 올리는 등 앞으로 예금·대출 금리의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경제연구소 권순우 수석연구원은 "회사채 유통수익률은 지난해 9·11 테러 이후 이미 상승 추세를 보였다"며 "현재 연 7%대 초반이지만 하반기에는 7%대 후반이나 8%대 초반까지 올라 연평균 7.5%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외환은행 설영만 자금부장도 "여러 경기지표가 호전되고 있지만 주가와 수출 등 몇가지 실적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해 금리가 주춤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런 문제점이 해소됐다고 판단되면 금리가 급격히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장금리 상승폭은 1%포인트를 넘기 어렵다는 게 대부분 전문가의 분석이다. 우선 경제가 회복되고는 있지만 과열이라는 진단을 내리기에는 아직 이르다. 또 올해는 지난해보다 국채 공급물량이 줄어 금리 오름세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 폭이 커지면 신용불량자가 양산될 가능성이 커 대폭 올리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결국 시장금리가 오름에 따라 일반인이 피부로 느끼는 은행의 예금·대출 금리도 소폭이나마 오를 것이란 점은 확실하다. 은행들이 지난해 대부분의 예금과 대출 상품의 금리를 실세금리에 연동시키도록 체계를 변경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급증한 주택담보 대출 상품의 경우는 대부분이 양도성예금증서(CD·91일물)수익률에 연동되는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있어 실세금리가 오르면 즉시 금리가 오르게 돼 있다.

예·대 금리 인상폭은 실세금리의 상승폭보다 작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금융기관 간 경쟁이 심하기 때문에 실세금리 상승폭의 50~70% 이상 올리기 어렵다는 얘기다.

금융연구원 이동걸 연구위원은 "은행권에는 합병 등 구조조정 작업이 아직 진행 중이어서 경쟁 전략을 예측하기 어렵다"며 "영업기반을 확대한다는 전략을 세우는 은행이 나온다면 대출금리 상승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