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 보호 철회를" 아·태 美 商議서 촉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인들이 외국산 철강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미 행정부의 통상법 제201조 발동에 대해 재고 또는 철회해 줄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

아태지역의 미 상공회의소들 모임인 아태 미 상의협의회(APCAC)는 오는 21일부터 3일간 뉴질랜드의 오클랜드시에서 올해 정례회의를 열고 외국 철강업체에 대한 미 통상법 제201조 발동 등 미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과 이와 관련된 조치들을 재고 또는 철회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서울에 사무소를 둔 APCAC의 한 고위 관계자는 14일 "미 정부의 극단적인 보호주의 무역 정책에 대해 아태지역 23개지역 상의 회원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이번 회의 때 여러 문제점을 논의한 뒤 조지 W 부시 대통령에게 보호무역정책 중단을 촉구하는 서한을 전달할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주한미상의(AMCHAM)도 13일 이사회를 열어 미 정부의 보호무역정책이 해외에 나가 있는 미국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APCAC와 같은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 진출해 있는 미국 기업인들이 자국 정부의 무역정책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의 토머스 도슨 국제담당 국장은 13일(현지시간) "IMF는 줄곧 자유무역을 옹호해 왔다"고 전제한 뒤 "미 철강업계가 어렵기는 하지만 선진국의 보호주의는 개도국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경고했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도 이날 "이번 조치는 미국 철강업계가 안고 있는 문제를 푸는 열쇠가 아니다"며 "미국의 입장 변화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도널드 에번스 미 상무장관은 이날 상원 청문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에게 "앞으로 철강 수출국들과 협의하겠지만 관세율(최고 30%)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섭·이재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