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도 기부 행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지난 설을 전후해 비싼 선물용품은 불티나게 팔렸지만 양로원과 고아원 등엔 후원이 적었다는 신문 기사를 읽는 마음이 가볍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떼내 정기적으로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뉴스는 흐뭇한 느낌을 주었다(본지 2월 6일자 27면,7일자 28면).기부(寄附)의 필요성과 올바른 기부문화 정착을 위한 방법 등을 알아본다.

편집자

◇기부의 필요성과 실태

기부는 자신의 가치 기준이나 신념에 따라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무엇인가를 베푸는 행위다.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부(富)의 불평등 문제를 바로잡고, 사회적 화해를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인 것이다.

여러 연구 자료에 의하면 기부 행위는 학습에 의해 형성되고 반복하면 습관이 된다. 가령 부모의 기부 활동을 자녀가 본받으며, 기부를 자주하면 생활화하게 된다. 기부 내용은 현금·물품·전문지식·기술·자원봉사 등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기부 형태는 언론사 등이 주도하는 불우이웃 돕기 캠페인에 성금을 내거나 평생 고생해 모은 돈을 학교에 기탁하는 등 일회성인 경우가 많다.

모금 전문 단체인 '아름다운 재단(www.beautifulfund.org)'이 지난해 1월 성인 남녀 1천1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35.5%가 연말연시에만 기부한다고 응답했으며, 정기 기부자는 16.3%(종교기관 제외)로 미국·프랑스의 70%보다 훨씬 낮았다.

1인당 연평균 기부액도 9만8천여원으로 99년 미국의 1백34만원(1천75달러·소득의 2.1%), 96년 일본의 30만원(2백40달러)과 차이가 컸다.

기부 동기는 동정심(33%)이나 종교적 신념(28.6%)이 대다수로 나타나, 공익을 위해 활동하는 시민단체 등에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나 소신에 따라 기부하는 사례는 적었다.

◇주제 활동

①우리나라도 미국의 강철왕 카네기(1835~1919)나 실업가인 록펠러(1839~1937)처럼 도덕적 의무(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사회지도층이 많다. 국내외 사회지도층 인사 가운데 본받을 만한 자선 활동을 한 생존 인물을 한 명씩 고른다. 그런 뒤 그들이 갖고 있는 부와 기부에 대한 생각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비교한다.

②사이버 기부 활동이 활발하다. 관련 웹사이트만도 3백여개에 이른다. 학급원 모두가 서너 명씩 모둠을 지어 '기부 사이트 사냥대회'를 연다. 각 사이트에서 하는 일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유형별로 정리한다.

③김정태 국민은행장은 올해 스톡옵션(기업의 임직원이 일정 수량의 자사주를 매입해 나중에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권리)으로 벌게 될 1백억원 가운데 절반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발표했다(본지 2월 5일자 30면). 김행장이 사회에 환원할 50억원의 집행 책임을 내가 맡았다면 어떻게 할까?

④미국의 유력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가 99년 '지구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22세 청년'으로 선정했던 세계적 환경운동가 재미교포 대니 서(25)는 그가 지은 책 『작은 실천이 세상을 바꾼다』(1999·문학사상)에서 작은 실천으로 15분 안에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적을 이룰 수 있다며 '버리는 카세트를 노숙자 센터에 기증하자'는 등을 제안했다. 우리가 쉽게 할 수 있는 '용돈 1% 아껴 기부하기' 등의 아이디어를 급우들과 모으고 '베스트 10'을 뽑아 관련 단체에 보내거나 각자 한 가지씩 실행한다.

⑤기부를 생활화하려면 어릴 때부터 버릇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가족 구성원들이 각기 자신의 자산을 물질적·정신적인 것으로 구분해 목록을 만든다. 그 다음 가족회의를 열어 우리 가족의 장·단기 기부 계획을 설계해 실천한다.

⑥대전 신탄진중학교 '지구촌 클럽'(www.eunicef.kimc.net, 지도교사 유근창) 회원 25명은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대덕구 대화동에 있는 정신지체인 생활시설인 '온달의 집(042-673-9059)'에서 봉사활동을 한다. 마음이 맞는 급우·이웃 등과 함께 기부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하는 것은 어떨까?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