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질환자 원격진료 … 전국 1만2000명 대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세계 최대 규모의 원격진료 사업이 10월부터 대구·경기·전남·충북 등 4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시행된다. 정부는 이 사업에 521억원을 투입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점검하고 관련 제도를 정비하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11일 SK텔레콤과 LG전자를 중심으로 한 두 컨소시엄과 ‘스마트케어 서비스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두 컨소시엄은 오는 10월부터 3년간 경기도 고양과 성남, 전남 여수, 충북(이상 SK), 대구시(LG)에서 만성 질환자에 대한 원격진료와 처방 등 임상시험을 한다.

진료 대상 환자는 당뇨·고혈압·폐질환·대사증후군을 오랫동안 앓아온 만성질환자와 암 생존자다. SK 컨소시엄은 8000명, LG 컨소시엄은 4000명의 환자를 각각 맡는다. 지금까지 가장 규모가 컸던 미국의 원격진료 시범사업(600명 대상)의 20배 규모다. SK 컨소시엄에는 국립암센터와 서울대병원·강북삼성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성모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등 7개 대형 병원과 해당 지역 개업의원 100곳, 요양원 30곳 등의 의료기관이 참여한다. LG 컨소시엄에는 경북대병원·영남대병원·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과 지역 개업의원 38곳이 합류했다.

 의료와 정보기술(IT)·서비스를 접목한 스마트케어 산업은 각국에서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의 보스턴컨설팅은 2011년 전 세계 스마트케어 시장이 1893억 달러(약 21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는 이 분야를 신성장 산업으로 지정하고 정책적으로 육성하려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의사가 환자를 멀리 떨어져 진료할 수 없다’는 의료법을 고쳐야 하는데, 의료계의 반발로 진전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달 도서산간·장애인 등 의료 소외계층 450만 명에 대해서는 원격 의료행위를 허용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안을 국회에 상정했다.

이번 사업은 ‘새 의료제도를 시행하기 위해 필요하면 시범사업을 할 수 있다’는 보건의료기본법상 예외 조항에 따라 시행되는 것이다. 대규모 사업을 통해 기술적 능력과 사업성, 진료 안전성 등을 검증하자는 취지다. 지경부 김준동 신산업정책관은 “원격 건강관리 사업은 2014년 2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정도로 규모가 커지고 있고, 의료 관련 파급효과도 크다”고 말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