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통 정원 한두 곳이라도 복원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전통 정원의 복원은 문화적인 면뿐 아니라 관광산업의 측면에서도 한국의 정체성을 살리는데 반드시 필요합니다."

문화재위원으로 중국 칭화대에서 한.중.일 동양 삼국의 전통정원에 대해 연구 중 일시 귀국한 박경자(朴景子.52.여.사진)박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돼 있는 졸정원(拙政園).사자림(獅子林).곽장(郭莊) 등 중국의 고전 원림들을 보면 은근히 속상하다"며 전통정원의 가치를 역설했다.

우리도 나름대로 중국이나 일본에 못지않는 전통이 분명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변변히 남은 게 없는 것도 그렇지만, 그렇다고 전통정원하면 으레 남의 얘기로 간주해버리는 현실이 더 안타깝기 때문.

그는 "지금까지 조선시대 문집 등을 통해 100여 건의 석가산(石假山) 기록을 찾아냈다"며 "석가산이 봉래.영주.방장 등 삼신산을 본뜬 것으로 전통정원의 핵심인 점을 감안하면 적어도 그만큼의 정원이 존재했었다는 얘기"라며 "우선 급한 대로 한두 곳만이라도 복원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퇴계.미수 등 10명이 남긴 기록에 대해선 분석작업까지 마쳤다. 이를 통해 대략적이나마 정원(석가산)을 꾸민 동기와 원리, 형태 및 기능 등에 대해 파악했다.

"기본적으로 음양의 상징인 산수를 가까이 하고픈 마음을 '소중현대(小中懸大:작은 것에서 큰 것을 본다)'의 풍류로 살려낸 것이 전통정원의 원리이자 멋입니다."

전남 담양 소쇄원의 세계문화유산 지정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그는 특히 채수(蔡壽.1449~1551) 선생의 '석가산폭포기'에 나오는 지명이 경북 상주이고, 현지답사에서 1980년대 초까지 석가산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만큼 모델차원의 복원은 가능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그는 "현재 문화유적을 복원할 때 단순히 건물 등 특정 부분에만 신경을 쓰고 고작 나무 몇 그루 심고 마는데, 정원에 포함되는 공간구조물 등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해야 한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안압지 조영계획에 관한 연구'로 서울대환경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딴 뒤 경복궁 아미산 정원 복원 등에 참여한 조경기술사이기도 하다.

이만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