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탄사격장 안전 '구멍'… 주식실패 30대 총기자살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민간 실탄사격장에서 사격을 하던 30대 남자가 권총으로 자살한 사건이 발생, 안전관리에 큰 허점을 드러냈다.

민간 실탄사격장은 선수들의 연습공간 확보와 시민들의 여가선용 등을 명분으로 허가됐지만 안전사고와 도난에 따른 범죄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어 존폐 논란도 일고 있다.

29일 오후 4시40분쯤 서울 양천구 목1동 목동운동장 내 실탄사격장 3번 사대(射垈)에서 徐모(35.무직.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씨가 38구경 권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쏴 숨졌다.

徐씨는 최근 주식투자 등으로 6천여만원의 빚을 지고 괴로워했다고 가족들이 말했다.

◇ 실탄사격장 실태=전국의 실탄 사격장은 모두 25곳으로 서울에는 태릉.목동.서초.강북 사격장 등 네곳이 허가를 얻어 이중 세곳이 영업 중이다.

특히 현정부의 규제완화 방침이 발표된 1998년 이후 서울에만 세곳이 경찰의 허가를 얻는 등 무더기로 개설됐다.

사고가 난 목동사격장의 경우 권총사격대 앞쪽으로는 양편에 방탄 칸막이가 설치돼 있지만 정작 사격자들 사이에는 방탄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아 다른 사격자나 안전요원을 쏠 수도 있는 구조다. 권총을 일정 거리 내에 묶어두는 장치도 없어 자칫 인질극도 벌어질 수 있다.

◇ 문제점=민간 실탄사격장의 주 이용층은 사격선수나 일본인 등 외국인 관광객이라는 것이 사격장측 설명이다. 하지만 이용자의 제한이 없어 어린이도 학교장 추천을 받으면 이용할 수 있다.

경찰 관계자는 "사격 및 사격장 단속법에 따라 허가는 해주고 있지만 총기 소유가 허용되지 않는 나라에서 왜 굳이 이런 시설이 필요한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조민근.강병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