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 순국하게 한 세력 응징해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64호 01면

김태영 국방부 장관(사진)은 1일 천안함 침몰사건과 관련, “우리 장병들을 순국하게 한 세력에 대해선 어떤 형태든 간에 분명한 응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는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의 말에 동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2일 방송 예정인 KBS1-TV ‘일요진단’ 녹화를 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김태영 국방 "보복 악순환 고려해야 하지만 뭔가를 안겨줄 것"

그는 “보복이 보복을 부르는 악순환을 고려해야 하지만, 확실한 진상 규명을 통해 장병들을 순국하게 한 세력에 대해선 뭔가를 안겨 줘야 한다”고 했다. 또 ‘천안함을 폭발시킨 수중무기가 어뢰로 판명 나도 북의 소행으로 단정하기 어렵지 않느냐’는 질문엔 “정황 증거를 포함해 어느 정도 진실에 가까운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북한의 잠수함 대비책에 대해 “솔직히 허를 허용했다. 동해는 잠수함 작전이 쉬운 곳이라 판단했고 그동안 상륙 시도도 있어 강화했다”며 “서해는 수심이 60m 이하로 낮아 잠수함 기동이 제한되고 잠수함 공격률이 적다고 판단했다. 이번 기회에 대비 태세를 조정·보완해 서해 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민·군 합동조사단의 ‘외부 폭발로 인한 천안함 침몰’이라는 잠정 결론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좌초설이 제기되는 데 대해 “조사 결과 발표 전에 좌초설을 주장하는 일부 인사에게 현장을 볼 기회를 제공해 의혹을 풀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장관은 합참에 해군 출신 장성과 장교가 적다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현재 합참 구성 비율이 육·해·공군이 2.4대 1대 1이지만 최근 바다에서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어 해군 요원의 보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