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즈 Q&A] 독감 예방 접종해도 감기 걸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4면

(Q) 지난해에 네살난 딸 아이에게 독감 예방주사를 맞게 했지만 감기에 걸려 한동안 앓았습니다. 주사를 맞아도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많은데 독감 예방 접종을 꼭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서울 신도림동 주부 L)

(A) 유행성 독감과 일반 감기는 다릅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았더라도 일반 감기에는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기에 안걸리도록 아이를 돌보는 일은 게을리하면 안됩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 호흡기 질환이지요. 바이러스가 매번 모습을 바꾸기 때문에 해마다 독감 예방 접종을 해야 합니다.

독감 예방 접종의 효과는 70~80% 정도입니다. 하지만 백신을 맞은 후 독감에 걸렸을 경우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각하지 않게 넘길 수 있기 때문에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에게는 예방 접종이 아주 중요합니다.

독감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데, 초기에는 고열과 오한, 두통과 근육통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나다가 점차 기침 등 호흡기 증상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는 폐렴과 같은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6개월 이상 된 어린이나 노년층,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 만성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 기관지 천식이 있는 사람, 기타 만성 질환으로 면역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예방 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미리 길러줘야 합니다.

독감 예방주사는 처음 맞을 때에는 4주 간격으로 두 번 맞으면 되며, 그 다음 해부터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형이 바뀌지 않았다면 한 번만 맞으면 됩니다.

보통 독감의 유행시기가 1~2월이므로 접종은 적어도 11월까지는 마쳐야 합니다.

염혜영 <강남 차병원 소아과 교수>

◇ 질문은 생활레저부 팩스(02-751-5626)로 보내주십시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