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합조단 “비접촉 폭발 후 버블제트로 침몰” 결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천안함이 어뢰나 기뢰에 의해 침몰된 것으로 사실상 결론 났다. 민·군 합동조사단 윤덕용 공동단장은 25일 인양된 함수의 절단면을 조사한 결과 “폭발물이 천안함의 좌현 터빈실 하단의 수중에서 폭발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파공이 없고 선체의 변형 형태로 볼 때 비접촉 폭발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박정이(육군 중장) 공동단장은 “이런 외부 폭발물은 어뢰 또는 기뢰”라고 말했다.

천안함이 어뢰 또는 기뢰에 의해 침몰된 것으로 결론 남에 따라 북한 소행일 가능성이 확실시되고 있다. 백령도 부근에서 해군 함정을 향해 어뢰를 발사하거나 기뢰를 부설해 천안함을 공격할 나라는 사실상 북한뿐이기 때문이다. 윤 단장은 “절단면의 찢어진 상태나 안으로 심하게 휘어진 상태를 볼 때 수중 폭발 가능성이 높다”며 “수중 폭발 시 초기 폭발에 이어 1∼2초 후 버블제트가 온다”고 말했다. 비접촉 폭발은 감응 어뢰나 사출형 기뢰가 선체에 닿기 직전에 폭발하는 경우로 직접 접촉했을 때보다 충격이 더 크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도 이날 “버블제트에 가장 가깝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천안함은 어뢰 또는 (사출형) 기뢰에 의한 수중 폭발로 선체 좌현 하단이 크게 함몰되면서 찢어지는 1차 충격을 받은 뒤 곧이어 발생한 버블제트에 의해 두 동강 난 것으로 정리됐다.

윤 단장은 “초기 수중 폭발력은 (좌현) 아래에서 (우현) 위로 치고 올라가면서 좌현 하단의 3.3m가, 우현 상부갑판의 약 10m가 손상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윤 단장은 또 “함수 부분의 탄약고와 연료탱크에 손상이 없고, 내장재가 불에 탄 흔적이 없는 점으로 보아 내부 폭발의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천안함의 선저에 긁힌 흔적이 없고 (선저에 장착된) 소나돔 상태가 양호해 좌초 가능성은 없다”며 “절단면이 복잡하게 변형돼 있어 피로파괴 가능성도 없다”고 말했다.

침몰 원인에 대한 최종 발표는 다음 달 중순께 이뤄질 전망이다. 합조단 관계자는 “이번 2차 현장 합동조사에는 민·군 전문가와 미국·호주 해군 조사팀 등 43명이 참여했다”며 “폭발물 파편을 찾아내기 위해 형망어선도 동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형망어선은 40㎝ 길이의 갈고리 50개가 5㎝ 간격으로 달린 형망틀을 이용해 바다 밑 작은 파편도 긁어 올릴 수 있는 배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