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임원 승진엔 '재무출신' 비율 높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기업에서는 역시 돈 만지는 부서(재무)출신이 이른바 별(임원)을 가장 많이 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환위기 이후 감량경영과 사외이사 증가로 인해 임원이 되기는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한편 상장사 임원의 전형은 '54세에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를 나온 경상계열 전공자이며 취미는 골프, 거주지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로 조사됐다.

이런 사실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거래소 상장사 6백84개의 등기임원(감사 포함)5천1백7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1년도 상장사 임원 현황' 에서 나왔다.

이에 따르면 재무 부문 출신 임원이 20.4%로 가장 많았다. <그래프 참조> 미국 주요 1천대 기업에서도 재무부문 출신 최고경영자가 26.4%(2000년 기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재무부문 출신이 각광받는 것은 매출증대보다는 투자위험 최소화, 원활한 현금흐름 등이 중시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주요 1천대 기업에서도 재무부문 출신 최고경영자가 26.4%(2000년 기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재무부문 출신이 각광받는 것은 매출증대보다는 투자위험 최소화, 원활한 현금흐름 등이 중시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1998년 사외이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사내이사의 수가 급감했다. 95년 사내이사는 10.39명이었지만 올 상반기 현재 사내이사는 95년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지난해부터 전체 이사 중 사외이사를 4분의1(자산총액 2조원 이상은 2분의1)로 채우도록 증권거래법이 개정됐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기업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이사의 숫자를 줄인 것도 사내이사 감소요인이다.

상장사 임원 중 서울대 출신이 27.3%로 가장 많았다. 여기에 고려대(10.3%)와 연세대(9.2%)를 합치면 상위 3개 대학 출신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이밖에 1백명 이상의 임원을 배출한 대학은 한양대.성균관대.중앙대.부산대.영남대 등 5개 대학이었다. 출신 고등학교는 경기고.서울고.경복고.경북고.부산고.경남고 순으로 많았다.

한편 2개 이상의 상장사 임원을 겸임하고 있는 사람은 3백16명이었으며 이중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6개사의 이사를 겸임해 이사직위를 가장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LG그룹의 구본무 회장은 2개사, SK그룹의 손길승 회장이 3개사의 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이희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