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전혁 의원, 교수 때부터 반전교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전교조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이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2006년 공저한 책의 제목이다. 그 무렵 조 의원은 ‘討全敎組檄文(토전교조격문)’ ‘전교조, 학생 볼모로 정치게임하나’ ‘전교조의 교원평가 반대 투쟁에 부쳐’란 제목의 칼럼을 일간지에 기고했다.

19일 교원단체 가입교사 명단을 공개한 조 의원은 그동안 전교조에 뚜렷한 비판적 목소리를 내왔다. 전교조가 자신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진 20일에도 그는 “헌법상 학생·학부모의 알 권리는 모든 권리를 지배하는 원천적 권리”라고 말했다.

-1심 법원에선 공개 말라고 했는데.

“법적으로 책임을 질 부분이 있다면 지겠다. 면책특권 뒤에 숨지 않고 정공법을 택한 건 그 때문이다. 내 홈페이지가 접속폭주로 다운됐다. 격려도 많이 받고 있다. 그만큼 알고자 하는 욕구가 컸다는 거다. 정치인인 나한테는 굉장히 커다란 정치적 압박이었다.”

-전교조가 법적 대응을 한다는데.

“학부모들이 아이를 가르치는 교사가 어느 단체 소속인지 알고자 하는 데 부응했을 뿐이다.”

-전교조가 위축될 거란 얘기도 나온다.

“전교조는 피해망상증을 갖고 있다. 정치이념과 무관하게 활동한다면 학부모가 신경을 쓰겠느냐.”

조 의원이 전교조 문제에 관심을 기울인 건 2000년대 초반이다. 그는 “대학 신입생들이 반시장적 생각을 갖고 있더라. 2∼3년간 교양과목을 가르쳤는데 대학생을 바로잡는 것보다는 아예 (반시장적 영향이) 덜 묻도록 하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안식년인 2005년엔 교육운동에 아예 몰두했다. 그러는 사이 뉴라이트계열의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상임대표가 됐다. 2006년엔 학력정보 공개 소송을 내며 전교조와 충돌했다. 전교조의 계기수업(정규 과목 외에 사회적 현안에 대해 가르치는 수업) 내용을 비판하며 “일방적인 이념이나 반미, 친북성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08년 국회의원이 된 뒤에도 전교조와의 싸움은 계속됐다. 그해 서울시 교육감 선거 때 전교조의 선거비 지원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맞서 전교조는 조 의원을 검찰에 고발했다. 수능정보를 공개한 걸 두고서였다. 그러나 검찰이 무혐의 처분했고 대법원도 조 의원의 손을 들어줬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