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이렇습니다] 건설사 부도 감소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4면

지난달 부도난 건설업체(당좌거래 정지 업체 기준)는 22개다. 1월보다는 1개가 늘어난 것이지만 지난해 12월(30개)보다는 8개 줄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건설사들의 월평균 부도 업체 수는 2006년 41개, 2007년 41개, 2008년 48개, 2009년 30개로 감소 추세다. 2008년 9월의 금융위기 이후 부도나는 건설업체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지난해 오히려 줄어들었고 올해는 20개사 초반대로 더 감소했다.

건설협회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부도 건설사가 줄어들고 있는 이유를 정부 및 금융권의 지원 등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양도소득세와 취득·등록세 감면 등 세제 지원을 했고, 지방 공공공사 발주를 통해 선급금을 풀었다. 금융권은 대주단협약·워크아웃제 등을 통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연장 등 부도 위기에 몰린 건설사에 회생 기회를 주고 있다.

메리츠증권 강민석 수석연구원은 “건설사들의 PF 대출 총액은 2008년 말 기준 83조원인데 2009년 말에도 별 변화 없이 82조원”이라며 “건설사가 무너지면 은행권도 타격이 크기 때문에 만기 연장을 해 준 게 부도를 줄인 원인”이라고 풀이했다.

전자어음(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이 일반화된 것도 부도를 줄인 요인으로 풀이된다. 과거엔 돌아오는 어음을 막지 못하면 곧바로 부도로 이어졌지만 요즘은 전자어음을 통해 결제되면서 부도 처리가 쉽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자어음은 은행이 건설사에 미리 자금을 빌려 주고 나중에 발주자 등으로부터 돈을 받아 정산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이 전산으로 이뤄진다. 건설사가 자금을 제때 지불하지 못하면 부도 처리되는 대신 연체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이 자금 사정이 나쁠 때도 연명할 수는 있는 것은 대부분 은행이 어음을 막지 못한 건설사들을 부도 처리하지 않고 연체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라며 “그렇지만 금융 환경 악화로 새 사업을 벌이지 못해 속으로 곪아 터지는 건설사가 많은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박일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