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부채 '산넘어 산' 계열사 문제도 골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몽헌(鄭夢憲)회장 계열 현대그룹의 여신이 35조원을 넘는다는 것은 현대건설과 하이닉스반도체(옛 현대전자)가 채권단의 금융지원으로 위기를 넘긴다고 해도 나머지 계열사 문제 역시 만만치 않음을 보여준다. 두 회사의 빚을 제외하더라도 나머지 계열사의 빚이 21조2천6백억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올해 안에 현대그룹에서 분리될 예정인 현대중공업(빚 7조7천9백20억원)과 현대아산의 대북사업을 지원하는 부분을 빼면 큰 문제가 없는 현대상선(3조7천1백20억원)을 빼고도 현대종합상사의 빚이 2조1천50억원, 현대석유화학의 빚이 1조6천7백10억원에 이른다.

금융계는 계열사와 복잡한 거래.지급보증 관계로 얽혀 있고 그동안 산업현장에서 제품을 찾아 수출하기보다 계열사 제품을 대행수출해 수수료(0.5% 미만)로 매출을 올려온 현대종합상사가 어려워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종합상사는 현대자동차가 계열 분리한 뒤 자동차의 대행 수출이 줄어들면서 4월 한달만도 매출이 20% 이상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문제는 정치권에서도 본격적으로 파헤쳐질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우선 정확한 부실규모를 공개한 뒤 옥석(玉石)을 가려 가망없는 기업은 과감히 수술대에 올려야 한다" 는 입장이다.

이강두(李康斗)한나라당 예결위원장은 "우리 경제에 대한 국내.외의 불신은 상당부분 현대문제 때문" 이라며 "무조건 '잘될 것' 이라는 말만 되풀이하다간 정말 큰일날 수 있다" 고 경고했다. 한나라당은 8일 '현대특혜 진상조사회의' 를 시작으로 국회 상임위 쟁점화.국정조사 요구 등 전면공세를 펼 예정이다.

물론 정부와 채권단은 "대주주의 주식을 완전히 없애 경영권을 빼앗기 때문에 특혜가 아니다" 고 해명하고 있다.

현대건설과 하이닉스반도체를 당장 정리할 경우 추가로 들어갈 돈과 채권단의 손해가 더 크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채권단 출자전환.대주주 지분 해외매각을 통해 기업을 살리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세정.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