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차이밍량 감독 전주영화제 찾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1면

대안 영화.디지털 영화를 추구하는 제2회 전주국제영화제(다음달 3일까지)에 대만 영화계의 '얼굴' 격인 차이밍량(蔡明亮.44.사진)이 찾아왔다. 세계 저명 감독들의 디지털 영화를 상영하는 '디지털 삼인삼색전' 에서 신작 '신과의 대화' 를 선보였다.

'신과의 대화' 는 차이밍량 감독의 첫 디지털 영화. 전주영화제측에서 제작비 5천만원을 지원한 30분짜리 단편영화다. 그는 "지난 3년 동안 투자자를 찾지 못해 영화를 찍지 못하다 이번 작품으로 디지털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눈을 뜨게 됐다" 고 말했다.

28일 오후 시사회 직후 전주 덕진예술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그는 삭발한 외모에서 풍기는 강인한 인상과 달리 "안녕하세요" 라는 한국말로 인사하는 등 분위기를 친근하게 이끌어갔다.

'신과의 대화' 는 대만 전통의 무속의식, 찻길에서 명멸하는 신호등, 수질 오염으로 몸체가 썩어가는 물고기 등을 연속해 비추며 일상에 스며있는 '죽음' 의 이미지를 포착해낸다. '애정만세' (1994년) '하류' (96년) '구멍' (98년)등에서 현대사회의 소외.단절 등을 강조했던 그의 색깔이 그대로 확인된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자유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어 좋았습니다. 예전 작품은 장편인지라 아무래도 관객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번 디지털 영화에선 제가 찍고 싶은 것을 그대로 담았습니다. 저에겐 훌륭한 학습기회였지요. "

그는 이번에 50㏄짜리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며 자신이 직접 촬영까지 했다. "화면이 흔들리는 것은 내가 호흡할 때마다 소형 카메라가 움직였기 때문" "강가에서 죽어 있는 물고기를 열흘 정도 찍다 보니 생선이 먹기 싫어졌다" 는 등 에피소드도 잊지 않고 얘기했다.

"카메라가 작아 안정감이 떨어지는 대신 재미있는 장면이 발생하면 그 즉시 앵글을 들이대는 기동성이 디지털 영화의 강점인 것 같습니다. "

그는 올 칸영화제(5월 9일 개막)에도 장편 '그곳은 지금 몇시□' 로 진출했다. 98년 칸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은 '구멍' 이후 두번째다. '신과의 대화' 처럼 죽음을 다루지만 분위기는 크게 다르다고 짤막하게 소개했다.

'삼인삼색전' 엔 버스정거장.기차역.식당 등의 일상을 가감없이 포착한 중국 신예 감독 자장커(賈樟柯)의 '공공장소' , 디지털 세계에서 쾌락을 좇는 한 남성을 그린 영국 감독 존 아캄프라의 '디지토피아' 가 함께 상영됐다.

전주=박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