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도로신설 위해 택지지구 추가 지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건설교통부가 도로건설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시 영신지구를 개발예정지로 결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건교부는 지난 25일 열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용인시 도시기본계획안을 심의하면서 용인 영덕~서울 양재(24.5㎞)구간 중 영덕~고기리(12㎞)간 도로건설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67만평 규모의 영신지구를 정보통신단지 와 택지의 복합단지 개발예정지로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도로구간 건설비용 2천4백억여원은 당초 건교부에서 경기도에 요구했으나 경기도가 다시 토지공사에 떠넘긴 것이다. 그러나 토지공사는 구성 등 세곳에 1백20만평의 택지개발 용지를 주지 않으면 비용부담을 할 수 없다고 버텨왔다.

결국 건교부는 도로건설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택지를 개발하는 셈이어서 용인 서북부 지역의 마구잡이 개발을 치유하기 위해 만든 용인 도시기본계획안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이와 함께 건교부가 승인한 2016년까지의 용인시 도시기본계획안에 따르면 기존 개발예정지 면적을 축소하고 도시계획지역의 85.6%를 녹지로 지정, 앞으로 용인지역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신축이 불가능하게 됐다.

신봉 민간개발지구 면적은 당초 계획보다 13만여평 줄어든 42만평으로, 성복지구는 6만7천평을 줄여 49만평으로 각각 축소하는 한편 이들 지역 중 산림 보존 상태가 양호하거나 해발 1백60m 이상인 지역은 개발예정지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구성 택지개발 예정지구도 7만3천평 줄인 31만평으로, 보라지구도 6만4천평 줄인 30만평으로 축소했다.

또 이미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된 죽전.동백지구와 택지개발지구 지정이 추진 중인 서천지구는 계획대로 허용하되 동천2지구와 보정지구의 개발계획은 취소됐다.

그러나 기존에 공사 중인 아파트와 새로 건립될 아파트가 입주하게 되면 용인 인구는 40만명에서 85만명으로 늘게 된다.

정재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