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장애 '인력' 으로 막을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두 아이의 엄마인 조모(34)씨는 한달 전 정부로부터 장애인증(證)을 받은 신규 후천성 장애인이다. 안전띠를 안맸다가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됐다.

최근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그는 "엄마의 자리로 빨리 돌아가고 싶어 재활훈련.직업상담 등을 열심히 받고 있지만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다" 고 하소연한다.

조씨는 "휠체어를 2백20만원에 구입했다" 며 "휠체어 같은 장애인용 보장구.의료기기를 적정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장애인 입장에서 도움을 줄 것" 을 희망했다.

또 "정부와 사회의 지원이 지하철.주차.이동통신 요금 할인 등 장애인과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에 치중돼 있다" 고 지적했다.

장애인 10명 중 9명이 후천성 장애인이라는 보건복지부의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장애가 예방 가능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전체 장애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지체장애(관절 장애.마비.절단.변형등)의 경우 96%가 질병.사고 등으로 인한 후천성 장애다.

이는 교통사고.산업재해 같은 사고와 관절염 등 관련질환 발생률을 낮추면 장애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뜻한다.

뇌병변 장애인(뇌졸중.뇌성마비 등)도 90%가 후천성이다.

시각장애인(나쁜쪽 눈의 시력이 0.02 이하)의 발생 시기도 만 1세 이후가 93.6%에 달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수정체 질환.녹내장 등 각종 안(眼)질환, 감염성 질환, 당뇨병 등 내분비 질환이 후천성 시각장애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었다" 며 "40대 이후 이들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고 조언한다.

청각장애인(보통 말소리를 거의 듣지 못하는 사람)은 86.4%가 후천성이다.

노인성 난청, 감염성 질환이 청각장애를 일으키는 주요인으로 조사됐다.

◇ 예방 대책=보건사회연구원 변용찬 박사는 "질병으로 인한 장애발생을 예방하려면 대표적인 장애 유발 질환인 고혈압.관절염 등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 며 "고혈압환자 등록제, 음주.흡연관리제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고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또 "응급의료체계가 확립돼 교통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구조전문가가 즉각 투입돼 장애 발생을 줄여야 한다" 고 지적한다.

척추.목 등이 어긋난 상태인 사고 피해자를 업고 뛰다가 그 후유증으로 장애인이 되는 사례가 적지않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또 유치원.초등학교 등에서 교통안전교육 같은 조기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재활원 관계자는 "과학적이고 치밀한 재활훈련을 실시하면 상당수 후천성 장애인들이 사회로 복귀해 장애 이전의 직업.사회활동을 계속할 수 있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현재 재활서비스를 하는 곳이 국립재활원.장애인복지관 등 전국적으로 70여곳에 불과한 실정" 이라고 말했다.

박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