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문화원 건물 보존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부산시가 중구 대청동 옛 미문화원 건물을 보수해 '부산근대역사관' 으로 활용하려 하자 중구 구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있다.

중구 구민 1천여 명은 4일 오후 3시 시청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건물을 뜯어내고 현대식 건물로 다시 지어 상가로 활용하라" 고 촉구했다.

◇ 계획=부산시는 지난 3월14일 이 건물(대지 4백43평.건물 4백18평)을 민족의 아픈 근.현대사를 조명하는 역사의 장으로 활용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이 건물은 일제시대 때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건립돼 해방 후 미문화원으로 사용했으며 1999년 4월 시에 반환됐다.

부산시는 건물을 개수해

▶부산의 근대개항실

▶일제시대와 미군정실

▶동양척식주식회사 및 한미관계실 등 3개 전시실로 꾸며 역사 교육장과 관광코스로 활용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이를 위해 39억원의 예산을 확보, 개.보수를 위한 설계를 이달 말까지 끝내고 5월부터 공사에 들어가 내년 3월 문을 열 계획이다.

부산시 이종원(李鍾源)문화예술과장은 "옛 미문화원 건물 보존은 2년 동안 토론회.여론조사 등을 통해 근대 역사관으로 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재고의 여지가 없다" 고 말했다.

◇ 반발=중구 구민들은 4일 시청광장에서 가진 집회에서 "미문화원 건물은 근대 건축양식으로 보존가치가 없고 일제 식민통치의 치욕스런 현장에 불과하다" 며 "1995년 정부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했듯이 이 건물도 즉각 철거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구민들은 또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물을 뜯어내고 부산역사관을 포함하는 대형 복합상가 형태로 개발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

대청동 새마을금고 박창진(朴昌鎭)이사장은 "새 건물을 지어 사람들이 와서 편하게 쉬면서 쇼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 말했다.

정용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