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카자흐 ‘2030 국가발전 전략’은 한국이 모델

중앙선데이

입력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소련이 붕괴하고 카자흐스탄과 한국이 외교관계를 맺은 지 올해로 18년째를 맞는다. 그동안 양국의 협력관계는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인 발전을 계속해왔다. 특히 경제 분야 협력이 두드러져 지난해 양국의 교역 규모는 4억2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카자흐스탄의 대한국 수출이 8300만 달러, 수입이 3억3700만 달러 규모였다. 카자흐스탄은 주로 우라늄·철강·금·구리 등의 자원을 수출하며 한국의 전자제품·기계설비·소비재 등을 수입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직접투자는 30억 달러, 카자흐스탄의 대한국 투자는 6600만 달러를 넘었다. 카자흐스탄에는 한국 자본이 참여한 350개 이상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그중에는 삼성과 LG·SK·현대 같은 대기업과 동일하이빌·우림 등의 중견 건설사, 그리고 국민·신한·우리은행 등과 같은 대규모 금융회사도 포함된다.

카자흐스탄은 130여 개 민족이 어울려 사는 다민족 국가다. 이들 중 10만여 명의 고려인은 남다른 근면성과 인내심, 지적 능력을 갖춘 가장 우수한 민족에 속한다. 고려인들은 경제 분야는 물론이고 정부와 의회에까지 진출해 두드러진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의 노력이 한·카자흐 관계 발전에 밑거름이 되고 있음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지난해 5월 이명박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방문은 양국 관계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에너지·교통·건설·정보통신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협정이 체결됐다.

올해 4월에는 내가 한국을 방문해 정치·경제·문화·군사 분야의 협력을 논의한다. 의제 중엔 카자흐스탄의 한국 군함 도입 문제도 있다. 카자흐스탄에서의 한국 군함 조립·생산과 한국 기술 이전 문제도 논의될 것이다. 한국 군함 한 척을 무상으로 제공받는 협상도 진행 중이다.

나는 방한 기간 중 올해를 ‘한국의 카자흐스탄 해’로 선포하는 기념식에도 참석한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카자흐스탄 문화의 진면목을 보여줄 다양한 행사가 열릴 것이다. 내년에는 카자흐스탄에서 ‘한국의 해’ 행사가 추진된다.

카자흐스탄은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이 이룩한 역동적이고 포괄적인 경제발전 모델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카자흐스탄 정부가 1997년 채택한 ‘2030년까지의 국가발전전략’도 상당 부분 한국의 발전 모델을 참고한 것이다. 계획의 첫 단계에 해당하는 지난해까지 우리는 적잖은 성과를 달성했다. 2008년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2000년의 두 배가 됐다.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은 다섯 배나 늘고 연금도 세 배 많아졌다. 또 최저생계비 이하 소득을 버는 국민이 50%에서 12%로 줄었다. 수백 개 학교와 병원, 보건시설들이 새로 세워져 보건환경도 크게 개선됐다. 이에 유엔은 지난해 카자흐스탄을 ‘인적 잠재력 수준이 높은 국가 그룹’에 포함시켰다.

나는 지난 1월 말 발표한 ‘새로운 10년-새로운 경제성장-새로운 카자흐스탄의 미래’란 제목의 대국민 연두교서에서 향후 10년 동안 국가발전전략을 더욱 충실히 이행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현재 카자흐스탄은 세계적 경제 위기의 여파를 극복하고 지속적 경제발전을 이어가야 할 새로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기업환경을 개선하고 금융시스템을 안정화시켜야 하며 법률적 기반도 다져야 한다. 이를 위해 카자흐스탄 정부는 강화된 산업혁신발전 프로그램과 국가 산업화를 위한 로드맵을 작성했다. GDP의 40%가 넘는 430억 달러(약 50조원)를 투자해 160여 개의 각종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에 한국의 대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카자흐스탄이 산업 강국으로 발전하리라고 확신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기업 환경을 개선하고 금융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며, 신뢰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지속적으로 개선해가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국제 시장으로의 통합 노력도 시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제가 이행되는 2020년께면 카자흐스탄 국민은 양질의 의료와 교육 서비스를 받는 것은 물론 더 좋은 주거 환경에서 살게 될 것이다. 노인과 빈곤층·장애인 등도 더 많은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나는 카자흐스탄 국민 앞에 주어진 이 같은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양국의 협력 강화가 큰 기여를 할 것이며 이는 동시에 한국 경제의 발전과 번영에도 적잖은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정리=유철종 기자 cjyou@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