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급 안평대군 친필 2점 발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조선조 최고 명필로 꼽히는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친필 2점이 새로 발견됐다.

예술의 전당은 오는 29일부터 서예관에서 열리는 '한국 서예 2000년' 전에서 안평대군이 손수 쓴 '칠언절구(七言絶句)' 와 '춘야연 도리원 서(春夜宴 桃梨園 序)' 등 2점이 처음 공개된다고 17일 밝혔다.

안평대군 이용(李瑢.1418~1453)의 글씨는 국보 제238호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 1점뿐이어서 이번에 공개되는 글씨도 국보 지정 가능성이 크다.

'칠언절구' 는 감색 종이에 금니(金泥)로 외로움을 써나간 서정시다.

이백(李白)의 산문인 '춘야연 도리원 서' 는 검은 종이에 역시 금으로 쓴 작품으로 봄의 정원에서 형제들과 우애를 다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학계에서는 두 작품이 서첩의 일부여서 관서(款書)가 없지만, 서풍으로 보아 진적(眞蹟)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서예학자 이완우 박사는 "기존 판본과 금석문의 글씨를 놓고 자형.점획.짜임을 대조한 결과 의심할 수 없는 진품으로 드러났다" 고 말했다.

최완수 간송미술관학예연구실장은 "특히 '춘야연 도리원 서' 는 전형적인 송설체로 안평대군의 글씨를 통틀어 최고" 라고 평가했다.

조선조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은 둘째형 수양대군과 권력투쟁 끝에 죽음을 당하는 바람에 대부분의 작품이 불살라져 진적을 찾기 어려웠다. 그의 발문으로 유명한 '몽유도원도' 는 현재 일본 텐리(天理)대가 소장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