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 계획 확정] 수질 개선 10년간 3조 투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29일 발표된 새만금 ‘종합실천계획’의 큰 특징은 새만금호(湖)로 흘러드는 만경강과 동진강 중 남쪽에 위치한 동진강 쪽에 도시를 집중 조성한다는 점이다. 정부가 2개 강 중 하나만을 우선 선택한 것은 바로 수질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새만금 일대를 관광·레저 기능을 갖춘 명품 복합도시로 만들려면 새만금호의 수질이 최소한 3급수는 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3급수는 화학적산소요구량(COD) 5ppm 이하로 유람선이 다니고 수상스키 등을 즐기는 서울 잠실 부근의 한강 수질에 해당한다. 이 정도는 되어야 부영양화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이 급속히 자라면서 물이 썩고 악취가 발생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새만금호의 수질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정부는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축산분뇨처리장과 하수처리장 건설 등에 1조2566억원을 투자했으나 수질은 나아지지 않았다. 산업폐수와 축산폐수가 오히려 더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06년 4월 방조제의 물막이 공사가 끝난 뒤에도 갑문을 여전히 열어놓고 바닷물을 드나들게 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수질 개선에 추가로 2조9905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만경강 수질이 4급수를 벗어나긴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지난해 12월 환경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같은 오염 방지시설 위주의 대책으로는 만경강 쪽 수질이 2020년에도 COD 5.4ppm으로 4급수에 머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동진강 쪽 호수는 수질이 4.7ppm으로 3급수 달성이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단 이러한 예측에는 ▶용담댐·섬진강댐 물로 오염 희석 ▶가축분뇨 무방류시설 설치 등 30여 가지 추가 대책이 전제된 것이다. KEI는 만경강까지 3급수로 개선하려면 ▶가축 사육 마리수 총량 제한 ▶왕궁·용지 축산단지의 토지 매입 ▶친환경 농법 의무화 등 특단의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는 도입된 전례가 없는 강력한 규제여서 주민 반발도 우려된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