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파업 이탈 막기' 백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6일 총파업에 들어간 의료계가 동참하지 않는 병.의원들에 다양한 방법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상당수의 시.군.구 의사회는 의사협회의 파업 지침에 따르지 않고 문을 연 병.의원을 파악해 세군데의 의료관련 인터넷 통신에 명단을 공개했다.

경기도 A시 의사회는 6일 정오 현재 2백20곳의 동네의원 중 문을 연 16곳의 명단과 원장 이름.전화번호.출신대학을 통신에 올렸다.

서울 R구 의사회는 이날 오전 모 병원 강당에서 열린 총회 및 파업 출정식에서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회원들에 대해 ▶명단을 공개하고▶구 의사회 규찰대와 전공의 비대위가 참여를 권유하기로 결의했다.

그래도 계속 진료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의사협회 차원에서 회원들에게 주는 각종 혜택을 영구히 배제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부산 H구.전북 B군 등도 문을 연 동네의원 명단을 인터넷에 띄웠고 나머지 상당수 의사회도 명단을 파악하는 대로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일부지역에서 규찰대를 운영해 파업에 불참한 병.의원을 파악하거나 정부가 운영하는 비상진료안내센터(1339) 또는 119 긴급전화를 이용해 문을 연 곳을 찾아내기도 했다.

일부 의사회는 이날 오전 결의대회나 세미나를 열어 파업 이탈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다. 이런 자리에서는 출신학교나 전공과목 별로 출석점검을 하는 것이 눈에 띄었다.

이날 파업 동참률이 80%를 넘는 곳이 많았으며 종전에 비해 중소병원도 많이 참여했다.

지방의 Y원장은 "의약분업과 의료제도의 문제점에는 공감하나 파업이라는 극한적인 방법에는 공감하지 않는다" 면서 "하지만 지역 의료계의 분위기가 이러다보니 조직내에서 '왕따(집단따돌림)' 당하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문을 닫았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의사협회 의권쟁취투쟁위원회는 "일부 회원들이 파업률을 높이기 위해 문을 연 회원들에 대해 설득작업을 했을 뿐 조직적인 규찰대 활동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