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대사회는 갈등 불가피 한국은 조정 체계 못 갖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통합은 갈등의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 출발한다.”(김우창 이화여대 석좌교수, 미국문명사 박사)

“통일은 ‘하나’가 되는 것이지만 통합은 ‘여러 개’가 되는 것이다.”(송복 연세대 명예교수, 정치사회학 박사)

진보와 보수 진영에서 각각 존경받는 두 원로학자가 18일 제시한 사회 통합의 실마리다. 김 교수와 송 교수는 이날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위원장 고건 전 총리) 첫 회의에 나란히 초청돼 한국 사회 갈등의 원인과 해법에 대해 강연했다.

두 노(老)교수는 우선 현대사회에서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데 견해가 일치했다. 김 교수는 “갈등이 완전히 없는 사회는 상상할 수 없다”고 했고, 송 교수는 “현대사회 구조가 갈등 구조다. 갈등은 병리(病理) 현상이 아닌 정상(正常) 현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이런 갈등이 의미 있으려면 합리적 조정 과정이 필요한데 우리 사회가 갈등을 조정할 체계와 구조를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우리는 민주주의 원리를 받아들이면서 그러한 (갈등 조정) 기구들을 바르게 발전시키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송 교수는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3분의 1 정도의 기간에 급성장했기 때문에 갈등이 (다른 나라의) 배 정도라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진단은 비슷했지만 갈등의 치유책은 달랐다.

진보 성향의 김 교수는 주로 계층·이념 갈등에 대해 언급했다. 이 중 계층 갈등 해소와 관련해 “(하위 계층의 삶이) 사회안전망과 복지제도에 의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념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념을 넘어 사람의 문제를 하나로 보게 하는 것이 윤리”라며 윤리 회복을 강조했다.

반면 송 교수는 사회 갈등 전반을 언급하며 법치 회복을 강조했다. 그는 “법치가 안 되면 고비용 사회가 되고, 사회적 갈등이 증폭된다”며 “법치가 잘되는 나라 중 사회 통합이 안 되는 나라는 없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계층 갈등과 관련해선 ‘지도층의 제 몫 하기’를, 지역 갈등과 관련해선 ‘영호남 도(道) 간 결혼하기’를 방안의 하나로 제안했다.

특히 이날 질의응답 순서에선 두 교수에게 정치권의 최대 현안인 세종시 해법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김 교수는 “정부 부처가 내려와야 지역이 발전한다고 믿는 건 지역의 프라이드(자존심)를 버린 것”이라며 “(정부 부처 이전은) 백지화하는 게 옳다”고 정부의 ‘신안’에 손을 들어 줬다. 송 교수는 “국가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생각하면 정부 수정이 옳지만 그렇게 하려면 너무 큰 사회적 비용이 든다”며 “‘원안+α(9부2처2청과 대학·기업 이전)’가 좋을 것”이라고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10개 프로젝트 확정=사회통합위는 이날 첫 회의에서 4개(계층·이념·지역·세대) 분과위가 추진할 10대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제2의 용산 사태 예방을 위한 도시재정비사업제도 개선 ▶진보·보수 합동 북한 산림 녹화사업 ▶지역주의 개선을 위한 선거제도 개선 등이 포함됐다. 또 사회통합지수와 정부 정책 갈등평가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