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군 '북괴' 용어 수정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30일 국방부가 국가안보회의(NSC) 결정을 토대로 대북(對北) 관련 용어 전반을 바꾸기로 한 것은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측이 먼저 대남 용어를 순화한 데 따른 상호적 조치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군은 6.15 남북 공동선언 직후부터 휴전선 일대 확성기 방송에서 우리 군을 비하(卑下)하는 용어를 전면 사용하지 않았다.

'남조선 괴뢰군' 을 '남조선 군' 으로 대체했고 '원쑤' '호전광' '남조선은 미국의 총알받이' 등 원색적이고 자극적인 용어의 사용을 일절 중단했다.

노동신문과 평양방송 등 북한의 언론 매체들도 이날부터 우리 당국에 대해 원색적인 비난 용어의 사용을 자제했다.

이에 따라 남북한 군은 정상회담 이후 최우선적으로 비무장지대(DMZ)에서의 확성기 비방방송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정상회담을 통해 전쟁 재발과 평화 정착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북한군의 대남 용어 사용이 바뀐 만큼 서로 비방을 중단하고 용어도 순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고 배경을 설명했다.

우리 군은 그동안 북한 '정부' 와 주민에 대해선 '북한' , 북한 노동당과 북한군에 대해선 '북괴' 라는 용어로 분리해 사용해 왔다.

우리 군이 '북괴' 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한 것은 정부 수립 당시인 1948년부터다.

그후 6.25를 거치면서 '북괴' 로 굳어졌다. 여기에는 북한군이 소련의 '앞잡이 군대' 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러다가 94년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 이후부터 이런 호칭은 군에서만 사용하게 됐다.

장병들의 주적(主敵)개념을 강조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대신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화해 협력 차원에서 대외적으로는 북한군으로 부르기도 했다.

국방부는 그러나 기존의 주적 개념은 그냥 두기로 했다. 북한의 군사력이 여전히 우리에겐 위협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대북 관련 용어 순화 방침과 관련, 국방부 관계자는 "정상회담의 성과를 확대하고 남북 공동선언 이행을 군사적으로 뒷받침하는 조치" 라며 "남북 군 당국간 신뢰구축의 밑거름이 될 것" 이라고 기대했다.

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