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종금 정상화-영업정지 갈림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한국종금 유동성 위기가 종금업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최악의 고비는 넘겼다.

예금보험공사의 한국종금 후순위채 매입 등 총 2천8백28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사실 한국종금의 위기가 계속되면서 종금사들은 업계 전체의 존립 위기로 간주하는 분위기였다.

IMF 위기극복 과정에서 워낙 탈진해 이제는 약간의 충격도 견딜 재간이 없는 탓이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 당국이 대책 마련에 소홀했더라면 2~3천억원으로 막을 일을 수조원의 공적자금 투입사태로 몰아갔을 뻔했다" 고 말할 정도다.

하지만 정작 '대우 연계콜 망령' 을 잠재우지 못해 여전히 불씨를 남기고 있다.

정부가 나서 예금보험공사의 한국종금에 대한 나라종금 발행어음 대지급을 유도했지만 성사시키지 못한 것이다.

연계콜은 제3자를 통한 우회대출 방식. 한국종금이 대우 계열사에 자금을 지원하면서 나라종금을 경유한 부분을 일컫는다.

여기서 나라종금 퇴출 이후 예보가 이 부분에 대한 대지급을 거부하면서 문제는 불거졌다.

예보의 입장은 분명하다.

예보 관계자는 "대우 연계콜은 고객자금을 멋대로 지원한 투신.종금사나 이를 중개해준 금융기관이나 관행적으로 탈법을 자행해온 것" 이라며 "이미 대한투신으로부터 소송을 당해 있는 연계콜 대지급 논란인데 한국종금에만 예외를 적용할 순 없다" 고 밝혔다.

하나은행의 행보는 아직 미지수다.

후순위채를 통한 한국종금 지원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시하면서 예보의 대지급 이행을 전제로만 한국종금의 책임경영 주체로 나선다는 방침을 거듭 표명하고 있다.

"한국종금의 위기는 일시적 유동성 부족만이 아니라 자산.부채의 구조적 결함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발을 담그기 어렵다."

하나은행 관계자의 이 말은 우리 종금업계의 숨은 과제를 말해주고 있다.

허의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