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학계, 정지용등 '반동작가' 재평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북한에서 그동안 '반동' 으로 비판해왔던 정지용.백석등 민족적 정서를 노래한 시인.작가들을 재평가하고 있다.

북한문학을 연구해온 홍용희.김재용씨 등은 '실천문학' 여름호에 기고한 글에서 이런 북한의 최근 움직임을 분석한 뒤 "북한의 유연한 자세변화로 남북한이 함께 평가할 수 있는 문학적 공간이 넓어졌다. 이는 남북문학교류의 전망을 밝게해준다" 라며 환영했다.

정지용은 "넓은 벌 동쪽 끝으로…" 로 시작하는 '향수' 로 널리 알려진 시인. 그는 해방 직후 월북했으나 일제하에서 사회주의 문학운동의 반대편에 서 모더니즘 계열 시를 주로 썼기에 '반동' 으로 분류돼왔다.

그러나 최근 북한에서 정지용에 대해 "내용이나 형식에서 민족적이며 향토적인 색채가 짙은 시 창작의 길을 걸었다" 며 긍정평가했다.

특히 민족적.향토적 정서가 짙게 깔린 '산에서 온 새' 에 대해서는 "정지용은 그 대상이 고향이든, 자연과 풍속이든 식민지시대 민족이 당하는 고통과 불행을 제 나름의 설움과 울분으로 터트려 민족?의분을 나타냈으며, 민족시가의 전통을 살려나갔다" 며 높이 평가했다.

물론 북한에서 재평가하는 정지용의 작품은 주로 이런 민족적 정서가 살아있는 것들이며, 예술지상적인 시들에 대해서는 아직 평가하지 않고 있다.

홍용희씨는 북한의 재평가 논리를 '식민지현실에 대한 한탄' → '현실재인식' → '국권회복에 대한 갈망' → '민족자주성' 으로 정리했다.

즉 정지용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상실감이 결국은 국권회복과 민족자주성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백석은 북한에서 태어나 만주를 유랑하다가 고향 함경북도 정주에 정착했던 시인으로 순수문학이나 참여문학 어느쪽에도 속하지 않았던 인물. 그 역시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를 함경도 사투리로 잘 표현해냈다.

"화륜선 만져보려 선창 갔다//오다 가수내 들어가는 주막앞에/문둥이 품바타령 듯다가//열닐헤달이 올라서/나루배타고 판데목 지나간다 간다 "( '통영-남행시초2' 중)

경남 통영을 여행하다 쓴 이 시는 감정을 생략한채 서민적 풍경을 따스하게 그려내는 그의 시세계를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북한 '조선문학사' 는 이 시를 "생활의 일상사를 아무렇게나 그려놓은 것 같지만 거기에는 간고한 시기 생활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인생이 있고, 가난속에서도 한때의 즐거움이나마 느껴보는 인정세계가 있다" 며 "민족적인 모든 것이 짓밟히던 시기 시문학의 진보성.민족성을 지켜내는데서 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고 평가했다.

김재용씨는 "소설의 경우 최근 염상섭을 재평가하고 있다" 고 밝혔다. 염상섭 역시 체제순응적 인테리작가, 즉 '반동' 으로 분류돼왔다.

그러나 최근 '현대조선문학선집' 은 염상섭의 '만세전' 을 실으면서 "사회현실을 형상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긍정적인 의의가 있다" 고 평가했다.

김씨는 "북한문학계가 근대문학유산을 넓게 포용한다는 인식에서 주로 일제시대에 활동했던 작가들에 대한 재평가를 벌이고 있다" 며 "냉전적 인식을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주목된다" 고 주장했다.

오병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