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이후 이질환자 급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제1종 법정전염병인 세균성이질 환자가 학교급식 확대실시 이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구보건대 이광배(李光培.45.식품위생과)교수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에 신고된 세균성 이질환자가 1993년 1백13명, 95년 23명, 97년 11명 수준이었다.

그러나 학교급식이 중.고교로 확대실시된 98년 9백여명, 지난해 1천2백여명으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 9월 경남 마산고에서 학교급식을 통해 학생 3백60여명이 세균성 이질에 감염된 것을 비롯, 대구.경북지역 3개 고교와 전남 나주.충북 청주 초등학교 등에서 학교급식으로 인한 세균성 이질환자가 집단발생했다.

식중독 환자도 급식 확대이후 큰 폭으로 늘었다.

93년 39명, 95면 13명, 97년 6백53명에서 98년 1천3백여명, 지난해 3천1백49명이었다.

李교수는 학교급식의 문제점으로 ▶급식장소의 환경위생 불량 등 시설미비▶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부족▶불량및 저질식품 공급▶당국의 지도점검 소홀 등을 꼽았다.

특히 학교급식법에 따라 식품위생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위생관리인 없이 영양사 1명이 대규모 학교급식을 관리해야하는 허술한 관리체계가 제도적 문제로 지적됐다.

식품과 급식 장소만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위생관리인을 두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

학교 급식의 허술한 지도점검도 문제. 지방자치단체 등이 관리감독하는 일반식품과 달리 교육청이 감독권한을 갖고 있는데 전담인력 부족으로 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이 최근 합동단속을 벌인 도시락제조업소 25곳 가운데 21곳이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듯 영세한 도시락제조업체를 통한 도시락 급식의 위생불량도 지적됐다.

李교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급식상태의 위생상태를 관리.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관련 법령을 보완하고 학교급식을 영양관리.식품위생관리.식품조리로 구분해 전담직원을 따로 두고 관리해야 한다" 고 말했다.

안장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