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상무소각장 내달 시험가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완공 후 1년이 넘도록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쳐 방치된 광주시 상무신도심 쓰레기 소각장이 시민중재위원회(위원장 安浚 전 광주시교육감)의 중재로 조만간 시험 가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24일 "중재위측이 조건부 시험가동을 주요 내용으로 한 최종 중재안을 이번 주에 내 다음달 초 시험 가동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고 밝혔다. 중재위는 지난 20일 중재안을 제시하고 24일 시와 주민측으로부터 의견서를 받았다.

중재위는 20일 중재안 설명회를 통해 "안전성과 환경문제 등을 고려해 4개항을 전제로 한 조건부 시험 가동을 가능한 이른 시일에 실시키로 의견을 모았다" 고 말했다.

중재위의 전제 조건은 ▶시험 가동의 모든 과정 공개 ▶시험가동 평가항목 및 절차에 대한 중재위의 사전 확인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 측정치가 설계 보증치를 초과할 경우 즉시 가동 중단 및 보완 후 재가동 ▶재가동 후에도 설계 보증치에 미달할 경우 소각장 폐쇄다.

중재위는 또 신뢰성 확보를 위해 최종 중재안에서 다이옥신 농도 및 소음 측정과 주민들에 미치는 영향 조사 등을 제3의 기관에 의뢰할 것을 시와 주민측에 권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상무신도심 아파트 1만2천여가구(4만6천여명) 주민대표 등으로 구성된 '상무소각장 폐쇄를 위한 시민연대회의' 측은 시험 가동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시민연대회의는 의견서에서 "중재위 검토 결과 주민들의 주장대로 상무소각장이 꼭 들어서야 할 시설이 아닌 게 확인됐으므로 주민 안전 등을 위해 이전 또는 폐쇄돼야 한다" 고 밝혔다.

그러나 시민연대회의의 한 핵심 관계자는 "우리의 의견을 충분히 밝힌 만큼 중재위의 최종 결정에 따를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고 말했다.

또 광주시측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게 아니고 필요 이상의 권고 사항이 많이 붙기는 했지만 합의 정신을 존중, 중재안을 수용하겠다" 는 입장을 밝혔다.

상무신도심 주민대표와 광주시는 중재위 구성 때 '중재위 결정에 따르겠다' 는 이행 각서를 제출한 상태다.

상무 소각장은 1998년말 7백20억원을 들여 완공됐고 당초 지난해 1월 시험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가동을 못하고 있다.

중재위는 지난 2월 29일 시와 주민들이 추천한 인사들로 만들어졌다.

광주〓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