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쓰레기 늘면 매립장 반입료 할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쓰레기 발생을 줄인 기초자치단체(시.군.구)에 재정지원을 해주거나, 광역자치단체(시.도)가 함께 쓰는 쓰레기매립장이 설치된 기초자치단체에는 보상 명목으로 쓰레기반입료를 최고 절반까지 깎아주는 조례안이 만들어졌다.

대전시는 23일 '폐기물 관리조례 개정안' 을 마련, 25일 제 91회 임시회를 여는 시의회에 넘겼다.

20일간의 입법예고를 통해 주민의견 수렴을 거쳐 마련된 이 조례안은 의회에서 통과되면 다음달부터 시행된다.

조례안은 매달 대전시 공동 쓰레기매립장(유성구 금고동)에 들어오는 시내 5개 자치구의 생활쓰레기 반입량을 전년도 같은 달과 비교, 조금이라도 늘어난 자치구에 대해서는 반입수수료(t당 8천6백원)를 20% 올리는 게 주요 내용.

반면 반입량이 10% 이상 줄어든 자치구에 대해서는 반입수수료료의 10%를 청소사업비 명목으로 되돌려 준다.

반입량이 늘었는지 여부는 해당 자치구의 인구 증감률 등 여러가지 여건을 감안해 결정하게 된다.

조례안은 이와 함께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이 설치된 자치구(유성구)에 대해서는 반입료를 최고 50%까지 깎아줄 수 있도록 했다.

이른바 '혐오시설' 인 쓰레기처리장 설치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당하는 주거환경 훼손 등 각종 불이익을 보상하기 위한 배려에서다.

이에 따라 유성구는 연간 4억여원에 달하는 쓰레기반입료 부담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돼 주민 부담도 덩달아 감소하게 됐다.

대전시관계자는 "시민들이 쓰레기 발생을 최대한 줄이도록 유도하고 혐오시설 입지를 둘러싼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이른바 '님비현상' 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조례안을 마련했다" 고 밝혔다.

대전〓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