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개발 용적률 20%P 높아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서울에서 재개발을 할 때 적용하는 용적률이 이르면 내년 초부터 지금보다 20%포인트 높아진다. 이러면 일반에 분양할 수 있는 아파트가 많아져 조합원들이 내는 돈이 15%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그만큼 재개발의 사업성이 좋아진다는 뜻이다.

서울시는 6일 재개발 단지의 용적률을 올리는 내용의 ‘2010년 서울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안’을 공고했다. 지난 9월 14일 내놓은 전세안정대책의 후속 조치다. 현재 재개발 구역에서는 1종 170%, 2종 190%, 3종 210%의 기준 용적률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것을 20%포인트씩 올리겠다는 것이다.

용적률 증가분은 모두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주택으로 지어야 한다. 하지만 늘어나는 주택을 모두 일반에 분양할 수 있기 때문에 조합의 수입이 지금보다 훨씬 늘어난다.

이를 서울 신당동의 한 재개발 단지에 적용하면 일반분양 아파트가 110가구 정도 늘어 조합원이 추가로 내야 하는 돈의 15% 정도인 5000여만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K부동산투자연구소 권순형 소장은 “조합원 수입이 많아지므로 서울의 재개발 사업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적률 높이기는 뉴타운을 제외한 재개발 구역만이 대상이다. 관리처분인가(재개발 계획 최종 확정)가 났더라도 조합원 4분의 3 이상이 동의하면 용적률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분양승인이 난 구역은 제외된다.

황정일 기자

◆용적률과 1~3종(種)=용적률은 지상 건축면적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것으로,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축면적이 넓어진다. 종은 일반주거지역을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나눠 놓은 것으로, 1~3종이 있고 종별로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높이나 용적률이 다르게 적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