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대책'에 대한 시장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0면

코스닥시장 발전방안은 등록단계부터 퇴출까지 기업의 옥석을 가리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등록기업의 주식분산 요건을 강화하고 문제가 있는 기업은 곧바로 퇴출시킨다는 것이 골자다. 또 관리종목을 새로 만들어 투자자들의 피해를 줄이고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시도 강화한다는 게 정부의 의도다.

시장반응은 주가의 단기 조정을 염려하면서도 일단은 긍정적이다. 신한증권 코스닥팀 김효원 팀장은 "관리종목이 신설되고 퇴출대상 기업이 드러나면 일시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문제기업들이 한차례 정리되고 나면 실적과 성장성에 따른 주가차별화가 이루어질 것" 이라고 기대를 표시했다.

하지만 코스닥 열풍의 주역인 인터넷.정보통신 관련주의 성장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는 일은 여전히 숙제로 남을 것 같다.

현대증권 코디스팀의 이상구 수석연구원은 "공시가 제대로 이뤄지고 전산시스템이 완비되면 시장 인프라는 어느 정도 구비되는 셈" 이라며 "증권사 분석가들이 코스닥 등록기업을 얼마나 정확하게 분석하느냐가 시장성패를 좌우할 것" 이라고 말했다.이미 현대.동양 등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코스닥 전담팀을 말들고 있고 외국증권사들 역시 코스닥기업 분석업무에 보다 많은 정성을 쏟을 분위기다.

코스닥증권시장의 강정호사장은 "시장의 수급이 급격하게 변할 만한 내용이 없는 만큼 단기적인 주가조정은 크지 않을 것이다. 그간 정부대책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시장을 덮고 있었는데 이제 그것이 걷힌 셈" 이라고 말했다.그는 "지난주말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순매도를 보였지만 외국인들은 오히려 매수에 집중했다" 며 "이는 이번 조치가 시장의 건전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 것" 이라고 분석했다.

송상훈.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