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국세청장 "洪사장 중앙일보 인수자금 출처 밝히려 보광 세무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안정남(安正男)국세청장은 6일 국회 재경위 국정감사에서 "홍석현(洪錫炫)사장이 보광 이외에는 다른 사업을 한 적이 없고, 보광 또한 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일보를 인수했던 자금의 출처가 정당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세무조사가 실시됐다" 고 말했다.

이는 "보광그룹 세무조사가 중앙일보에 대한 표적조사였음을 사실상 시인한 최초의 발언" 이라고 한나라당 의원들은 지적했다.

특히 安청장의 이같은 답변은 지난 6월 19일 보광그룹 세무조사 착수 당시 "중앙일보와는 무관하며 법인의 성실도 분석 과정에서 탈루혐의가 나타나 조사에 착수한다" 는 김성호(金成濠)서울지방국세청장의 답변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어서 표적조사 논란이 증폭될 전망이다.

한나라당 김종하(金鍾河).박명환(朴明煥).안택수(安澤秀)의원은 "정부 실정을 비판적으로 보도해온 중앙일보가 6월 23일 손숙(孫淑)전 환경부장관의 거액 격려금 수수 사실을 보도해 정권의 심기를 거스른 6일 뒤 전격적인 보광 세무조사가 실시됐다" 며 "보광조사는 중앙일보에 본때를 보여주기 위해 현 정권의 치밀한 기획에 의해 이뤄진 표적조사" 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김재천(金在千)의원은 "보광 세무조사 발표 전날인 9월 16일 안정남 청장이 청와대를 찾아간 사실이 드러났다" 며 "보광조사가 청와대의 특명에 의한 게 아니었느냐" 고 따졌다.

국민회의 김근태(金槿泰)의원은 "국세청은 세무조사 결과는 공개하지 않는 게 관행인데도 보광은 광범위하게 공개한 데다 1천여개의 차명계좌를 변칙 사용한 듯이 분위기를 전달한 것과 달리 9개로만 밝혀졌다" 며 "국세청 조사의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고 지적했다.

자민련의 정우택(鄭宇澤).정일영(鄭一永).변웅전(邊雄田)의원도 국세청의 부풀리기 발표 등을 파고들며 투명한 조사결과 공개를 촉구했다.

답변에서 安청장은 "김대중 대통령은 보광조사 결과를 언론보도를 통해 알았을 것" 이라며 "9월 16일 청와대를 찾아 김중권(金重權)실장만 만났으며 金실장은 일절 얘기가 없었다" 고 밝혔다.

安청장은 특히 국세청 발표와 검찰 수사결과의 차이와 관련, "휴면계좌 6백여개도 한번씩은 사용했었기 때문" 이라고 말했다.

최훈.이정민.이상렬.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