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범재계 개혁작업 공동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 밝힌 '재벌개혁' 방침과 관련, 범 재계 차원에서 개혁 작업을 공동 추진키로 했다.

전경련은 또 금명간 재계의 자체 개혁의지를 천명하는 한편 개혁 과정에서 우려되는 부작용에 대한 보완책 등을 마련,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전경련은 16일 긴급 임원회의에 이어 17일 본부장 회의를 잇따라 갖고 전경련 사무국안에 개혁 추진팀을 만드는 방안도 논의, 이같이 입장을 정리했다.

개별 기업들도 김대통령이 제시한 '5대과제 (경영투명성 제고.상호 지급보증 해소.재무구조 개선.업종 전문화.경영진 책임강화) 연내 마무리' 방침을 지킨다는 원칙아래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마련 중이다.

현대는 그룹을 자동차.건설 등 5개 전문 소그룹으로 분리하는 계획을 예정대로 추진하는 한편 올해 정리키로 한 25개 계열사는 분리.합병 등 통해 매듭을 짓기로 했다.

삼성은 18일 사장단회의에서 이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인데 지난해말 8천억원에서 현재 3천억원까지 줄인 계열사간 상호지급보증을 연내 완전 해소하고 부채비율은 정부 가 제시한 2백%보다 훨씬 낮은 1백50% 이내로 올해안에 낮출 방침이다.

LG.SK.한진.한화.효성그룹 등도 구조조정 실적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5대그룹 한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순환출자와 부당내부거래 억제, 부 (富) 의 변칙상속 차단 등 기념사의 내용을 거부할 어떤 명분도 없다" 며 "다만 급격한 개혁이 가져올 부작용에 대한 보완은 필요하다고 본다" 고 말했다.

김동섭.고현곤.이수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