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치는 청와대…DJ 엄정한 국정관리 의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치권에 사정 (司正) 바람이 몰아치는 분위기다.

임창열.주혜란 부부 수뢰 사건을 처리하는 움직임이 그것을 예고한다는 게 16일 청와대 관계자들의 관측이다.

검찰 수사과정에서 林지사를 봐준 흔적이 없다는 게 청와대의 자평이다.

林지사가 IMF 극복과정에서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각별한 관계를 맺었지만, 그런 것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함축한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는 게 그들의 설명이다.

여기에는 국정의 엄정한 관리와 영 (令) 을 세우겠다는 金대통령의 의지가 깔려있다는 것이다.

특히 옷 로비 의혹 사건 과정에서 드러난 중산.서민층의 허탈감을 고위 공직자.정치권의 부패척결로 다독거리겠다는 뜻도 포함됐다는 것이다.

따라서 당연히 '다음 카드' 가 있을 수 있다는 얘기인 것이다.

박준영 (朴晙瑩) 청와대 대변인이 이날 발표한 성명에는 "부패 문제는 국가 존망의 문제" "지도층 부패척결 없이 우리의 미래는 없다" 고 이례적으로 강도있는 표현이 들어있다.

이와 관련, 여권 관계자는 "金대통령이 요즘 내세우는 자유.인권.정의 사회를 위한 정책수단으로 지도층 비리 척결과 공평과세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고 전했다.

그러면서 청와대는 "이번 사건은 검찰의 순수한 판단에 의해 처리됐다" 고 강조한다.

청와대가 수사상황에 개입.조정하는 부분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이것이 '제2사정' 으로 얘기되는데는 부담스러워한다.

정치적 해석을 꺼리는 것이다.

청와대 사정담당 박주선 (朴柱宣) 법무비서관도 "검찰 본연의 일을 하는 것일 뿐" 이라며 "사정은 지속적으로 하는 것" 이라고 말했다.

이미 그런 조짐은 오래 전부터 여러 곳에서 감지됐다.

검찰의 명예회복을 위한 자구 (自救) 노력 분위기도 한몫 했다.

그것이 林지사라는 여권인사부터 사정을 시작하게 만든 것이라는 게 여권쪽의 얘기다.

이와 관련, 여권 주변에는 이날부터 몇몇 사정 대상자가 거명되고 있다.

朱씨에게 돈을 건넨 서이석 전 은행장 등 경기은행 관계자들로부터 정치권 로비에 대한 진술이 나왔다는 얘기다.

朱씨도 일부 정치인에게 돈을 건넸고, 그 사실을 진술했다는 얘기도 있다.

청와대는 이를 부인하고 있지만 그와 관련해 여권 중진급 인사들이 구체적으로 거명되고 있다.

그 중에는 영입파 중진도 포함돼 있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